도서분류 자연과학/ 생명과학/ 생물학
도 서 명 세계의 다양한 생태계와 생물
지 은 이 김기태
출 판 사 채륜
정 가 24,800원
발 행 일 2016년 08월 30일
상세정보 반양장, 360쪽, 신국판 (153m/m×225m/m), 높이(19mm)
I S B N 979-11-86096-37-6 93470
1994년 폭염 후 최대치 더위, 자연이 변하면서 사람들의 안식처가 위협당하고 있다!
최근 몇 년동안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록적인 기상 변화가 사람들의 안식처를 위협하여, 그 생활이 불안해지고 있다. 그간 인간이 무소불위의 과학기술을 앞장 세워 궁핍함에서 벗어나 부유함을 누리며, 질병을 정복하고, 자연을 훼손하며 유린한 결과임이 뻔하다.
풍요로운 물질 환경을 위한 산업 발전도 중요하지만 사람이 살아가는 환경이 더욱 중요하다. 더욱이 유구한 자연 속 생물의 세계는 매력적이고 흥미로운 주제이기도 하다. 이 책은 육상 생태와 내수 및 하구 생태계 전반에 대하여 다루어 생태계를 면밀하게 고찰하였다. 산천초목의 건강이 사람의 건강임을 깨닫길 바란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류와 자연의 평화로운 공존이 아니겠는가.
산천초목의 건강이 사람의 건강이다
처서가 지났지만 모기입은 삐뚤어지지 않았다. 연일 계속되는 기록적인 폭염으로 농작물 피해가 늘면서 농수산물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1994년 이후 최악폭염이라는 기록은 추석 장보기도 두렵게 만들었다.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록적인 기상 변화에 사람들의 안식처가 위협당하고, 그 생활이 불안해지고 있는 것이다. 인류가 과학기술에 취하여 비틀거리면서 자연, 자연생태계, 자연스러운 환경을 소홀히 한 결과이다.
결국은 생태계다
우리가 건강하게 살려면 자연을 알아야 하고, 피폐해져가는 자연을 살려야 한다.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보존하고 보호하는 것이 가장 좋은 자연 보전의 방책이다. 무엇보다도 다양한 생태계를 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구의 생태계는 대단히 방대하고 다양하기만 하다. 세계의 다양한 자연생태계를 논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 논하는 방법론만으로도 수십 가지가 넘는다. 하지만 저자는 프랑스에서 학위논문을 최 단기간에 훌륭하게 완성했으며, 방대한 연구업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면서 학위를 마친 이력이 있다. 대게 실험을 적당히 또는 쉽게 하자했지만 굴하지 않았다.
그 결과, 5대양 6대주를 두루 다니며 다양한 생태계를 직접 관찰한 결과물로 이 책이 나올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훼손된 다양한 종류의 산천초목을 건강하게 살리는 것이 중요함을 설파하고 건강과 자연에 대한 글을 수록함으로써 폭 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 책을 통해 자연의 중요성을 깨닫고 자연과 인간의 평화로운 공존의 길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길 바란다.
김기태
서울대학교에서 생물학으로 이학사와 이학석사를 취득하고 동대학원에서 이학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프랑스 엑스-마르세이유 대학교에서 해양생물학으로 이학국가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영남대학교 교수, 프랑스의 국립과학연구원(CNRS) 연구교수, 미국의 올드 도미니언 대학교(Old Dominion University)와 중국의 남개대학교(Nankai University) 교환교수를 거치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 해양 생태학적 조사와 연구를 하였다.
동해 남부 해역의 연구로 경상북도 문화상(1992)을 수상하였고 국제해양학술지 〈Marine Nature〉를 창간하며 현재는 해동자연생태연구소 소장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독도와 동해연구』, 『독도-바다자연과 지리적 중요성』, 『지중해안의 에땅 드 베르 연구 I, II』, 『동해남부 해역의 연구』, 『해양 생산과 오염』, 『해양 생물학』, 『세계의 바다와 해양생물』, 『내수 및 하구 생태학』, 『건강과 바다』 등이 있다.
머리말
1장 자연보호의 중요성
1. 세계의 다양한 자연과 생물
2. 자연보호는 녹화운동으로부터
3. 자연보호는 수질보전으로부터
4. 미국인의 자연보호 의식
5. 우리나라의 해양오염
2장 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물
1. 백두산의 자연
2. 몽골의 에델바이스 초원
3. 러시아의 화려한 자작나무 숲
4. 중국의 구채구와 황룡의 자연
5. 네팔의 에베레스트 자연
6. 춘계 내몽고의 자연과 식물상
7. 아제르바이잔의 자연
8. 그루지야와 코카서스의 생태계
9. 아르메니아의 자연 환경
10. 한강, 서울의 젖줄
11. 캄보디아의 방대한 톤레삽 호수
12. 러시아, 바이칼호수의 자연
13. 우리나라의 바다와 해양생물
14. 남인도의 해양 환경과 해양생물
15. 몰디브의 해양 환경과 해양생물
16. 미얀마의 자연과 바다
17. 타이완의 자연과 수산업
18. 중국, 칭다오의 해양경관
3장 북미의 자연환경과 생물
1. 북구의 맥킨리 산의 자연
2. 알래스카의 식물상
3. 미국의 자연과 자연보전
4. 미국의 수자원과 자연
5. 체사피크 만으로 유입되는 제임스 강, 욕 강, 라파하눅 강의 자연과 수질
4장 중남미의 자연환경과 생물
1. 코스타리카의 바다와 자연
2. 아마존 강, 남미의 젖줄
3. 우루과이 강의 자연
4. 라플라타 강의 자원
5. 파라나 강의 자연과 자원
6. 파라나 강의 삼각주와 생물자원
5장 유럽의 자연환경과 생물
1. 초원과 호수의 나라 스위스, 알프스의 자연
2. 루마니아의 자연
3. 불가리아의 자연
4. 세르비아의 자연
5.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자연
6. 크로아티아의 자연
7. 슬로베니아의 자연
8. 러시아와 모스크바 대학
9. 프랑스의 지중해
10. 몰타의 해양 환경과 생태계
6장 아프리카의 자연환경과 생물
1. 모로코와 지브랄타해협
2. 알제리의 자연
3. 튀니지의 오아시스 생태계
4. 리비아의 녹색혁명의 생태계
5. 남아공의 케이프타운의 자연
6. 세네갈 강의 자연
7. 서아프리카의 황금어장, 모리타니 해역
7장 대양주의 자연환경과 생물
1. 호주 대륙의 사막자연
2. 블루마운틴의 자연
3. 뉴질랜드의 자연
4. 뉴질랜드 남섬의 피오르드 자연
5. 괌의 해양환경
8장 자연과 건강
1. 자연, 환경, 건강
2. 지구촌이 몸살을 앓고 있다
3. 북극권의 자연, 지구 온난화 현상
4. 불가리아인의 장수에 대하여
5. 건강은 인생의 전부이다
- 무엇을 어떻게 먹느냐가 건강의 근원이다
참고문헌
에필로그-흐르는 강물에 씨를 뿌리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