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코카서스산맥 민속음악 여행_표1.jpg




도서분류 음악

총 서 명 세계민속음악 총서 1

도 서 명 코카서스산맥 민속음악 여행

(부록 CD - 아르메니아 음악 여행 Armenian Music)

부 제 명 아르메니아·조지아

지 은 이 노재명

출 판 사 채륜

정 가 42,000

발 행 일 2015810

상세정보 반양장, 407, 신국판(153m/m×225m/m), 책등 높이(20.5mm)

I S B N 979-11-86096-13-0 93670

 


책소개.png

아르메니아·조지아 실크로드음악 현지기록화

옛 실크로드도 이처럼 시작되지 않았을까

조지아(그루지야) 포도마을 음악 여행음반 제작, 120여 명 출연 음악회 한국-실크로드 국제 아리랑 축제’, 조지아 포도마을 구르자니 다리 지역에 국악음반박물관 부설 세계민속음악연구소를 개관까지. 아르메니아와 조지아를 직접 넘나들며 기록하고 그 결과물을 탄생시키는 모든 과정을 이 책에 담았다.

지금부터 음악회라 할 것도 없이 자연스레 음식을 내오고 흥겹게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장면은 집 주변의 멋진 자연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장관이었다. 고유의 전래음악을 일상에서 남녀노소가 서로 이질감 없이 향유하고 있었다. 실생활에서 다소 멀어진 한국 전통음악 분야가 앞으로 어떻게 대중과 소통하고 일상의 풍류로서 다시 자리매김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코카서스 일상의 음악 문화 속에서 힌트를 얻고자 한다.

 


출판사서평.png

코카서스 지역의 대표적인 국가인 아르메니아·조지아 민속음악을

한국 전통음악과 비교 연구하였다

카자흐스탄, 우주베키스탄, 중국 무한, 일본, 중국 연변·심양에 이어 2012년에는 조지아(그루지야) 포도마을 음악 여행음반을 제작하였다.

2013년에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아르메니아 예레반,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음악회를 연출했다. 음악가 사진 1장 들고 무작정 갔던 조지아였는데 120여 명 출연 음악회 한국-실크로드 국제 아리랑 축제로 끈이 이어졌다.

3년 준비 끝에 조지아 포도마을 구르자니 다리 지역에 국악음반박물관 부설 세계민속음악연구소를 개관했다. 아르메니아와 조지아를 직접 넘나들며 기록하고 그 결과물을 탄생시키는 모든 과정을 이 책에 담은 것이다.

 

지금부터 음악회라 할 것도 없이 자연스레 음식을 내오고

흥겹게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장면은 집 주변의 멋진 자연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장관이었다

현대 조명의 무대나 인공적으로 조성된 스튜디오 안의 음악이 아닌 일상 삶 속에서 구현되는 생동감 있는 음악 현장 모습을 담으려고 노력했다. 가정집, 음식점, 거리 등 에서 누구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그저 음악이 좋아 자연스레 흥얼거리고 마음에서 은연중 솟아 나온 음악들에 집중하였다. 낭만, 풍류가 흘러넘치는 코카서스 지역의 풍요로운 감성을 담았다. 돈거래에 의한 음악 연주가 아닌 마음과 마음이 대화하는 교감의 모습들을 기록하였다.

전성기 명창 고음원, 오늘날의 한국 대중음악, 실크로드 민속음악의 비교 연구와 상호 응용을 통해 향후 판소리가 나아갈 길을 새롭게 모색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국적, 음악 장르 소속을 벗어나 마음과 귀를 열고 서로 관련 이 있으면서 다양한 음악들을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 전통음악 분야가 모색해야하는 길을

코카서스 산맥에서 얻었다

가장 부럽고 감명 깊었던 점은 고유의 전래음악을 일상에서 남녀노소가 서로 이질감 없이 향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전통음악이 현대음악으로 자연스레 이어지고 재창조되고 대중에게 새로 만들어진 민족음악 또한 유행되고 공감되고 있다는 점이다. 실생활에서 다소 멀어진 한국 전통음악 분야가 앞으로 어떻게 대중과 소통하고 일상의 풍류로서 다시 자리매김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코카서스 일상의 음악 문화 속에서 힌트를 얻고자 한다.

 


지은이.png

노재명_국악음반박물관 관장

조지아에 국악음반박물관 부설 세계민속음악연구소를 설립하였다.

국악 음반과 서적 총 400여 종을 기획 제작하였고 1986년부터 현재까지 국악 자료 63,000여 점을 수집, 정리하였다. 26년에 걸쳐 국악자료 집성 인터넷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1986~200520여 년 동안 국악 음반 사전 7(장르별 총 3,000여 쪽)을 완간하였다.

중고제 공연, 국악 고음반 전시회, 국악 유성기음반 복원 연주회, 판소리 3명창 특별공연, 귀명창대회, 적벽가 연속 감상회, 판소리 명창의 발자취를 찾아서, 소리MC 선발대회, 100개의 별 전주에 뜨다(명인명창 전주에 모이다) 행사, 한국 방짜 국악기 전시회, 한국-실크로드 국제 아리랑 축제, 지영희 특별전 등을 기획 연출하였다.

 


차례.png

책을 펴내며

실크로드의 끝과 끝, 한국과 코카서스 닮은꼴 음악을 찾아서

 

1조지아 포도마을 음악 여행음반 제작

1. 조지아 지도·명함·언어 준비

2. 마침내 도착한 실크로드의 끝자락 조지아

3. 시모나 가족 환영 음악회

4. 고구려 무용총 춤을 닮은 심디에 관한 조사

5. 판두리 악기 제작자 미로니 루아제 대담

6. 시모나 가족 음악과 조지아 동요 비디오 기록, 조지아 사람들의 심성

7. 구르자니에서 텔라비로 이동, 베카 일행 파타라 카키 음악 기록

8. 원로 음악가 안드로 시마슈빌리 만남

9. 포도마을 크바렐리에 있는 일리아 찹차바제 박물관 방문

10. 조지아 국립민요악기박물관 탐방

11. 판두리 악기 제작자 고기 기오르가제 대담

12. 조지아 민속음악방송국과 국립민속음악센터, 트빌리시 만물시장과 예술의 거리, 조지아 문

13. 조지아 정보, 합창 특징, 주요 조지아어

14. 완성된 조지아 포도마을 음악 여행음반

 

2한국-실크로드 국제 아리랑 축제연출

1. 옛 실크로드도 이처럼 시작되지 않았을까 싶다

2. 아리랑과 실크로드

3. ‘한국-실크로드 국제 아리랑 축제연출

 

3장 아르메니아 민속음악 현장 조사

1. 아르메니아 지도·언어 준비

2. 아르메니아 악기 제작자 지반 하므바르주므얀 대담

3. 아르메니아 음악가 겸 화가 리릿 예기아자리얀 대담, 아르메니아 사다라팟 국립박물관 탐방

4. 아르메니아 에치미아진 대성당 음악 기록

5. 아르메니아 관악기 두둑, 주르나 제작자 바르탄 하코피얀 대담

6. 아르메니아 음악학자 알리나 파흐레반얀 대담, 노래 기록

7. 아르메니아 전통춤 원로 수렌 기얀드주미얀 대담

8. 아르메니아 성악가 아르미크 바르다니얀 대담

9. 한국과 아르메니아 문화의 유사성

10. 아르메니아 정보, 주요 아르메니아어

 

4코카서스 문화 축제기록

 

5장 코카서스산맥 국가 악기·음반·자료 수집

1. 아르메니아

2. 조지아

3. 기타

 

6장 거문고자리Lyra 와 고대 페르시아 현악기 우드Barbat

1. 별자리 거문고자리Lyra

2. 고대 페르시아 현악기 우드

3. 별자리 Lyra와 페르시아 현악기 우드 Barbat 비교

 

7장 조지아에 국악음반박물관 부설 세계민속음악연구소 설립

1. 조지아 민속음악 현장 조사 출발, 일리아호수 밤샘 음악회

2. 러시아 손님들을 위한 음악회, 성악가 안드로 시마슈빌리 자택 방문

3. 조지아 시그나기 지역의 악기 제작자 슈마기 피르츠켈라니 대담

4. 조지아 츠노리 마을 악기 제작자 안조리 겔라슈빌리 대담

5. 조지아 그루자니 지역의 악기 제작자 미로니 루아제 손도장 기록

6. 조지아에 국악음반박물관 부설 세계민속음악연구소 설립

7. 조지아 구르자니 음악가 시모나 루아제 생일 잔치, 조지아에서 아르메니아로 이동

 

8아르메니아 음악 여행음반 제작

1. 아르메니아 국립가무단 환영 음악과 춤

2. 아르메니아 국립가무단 지라이르 알튜니얀 예술감독, 아쇼트 티그라니얀 총감독 등 대담

3. 아르메니아 음악가 겸 화가 리릿 예기아자리얀 자택 대담

4. 아르메니아 악기 제작 명장 세르게이 사도예브, 미하일 사도예브 형제 대담

5. 아르메니아 전통춤 원로 수렌 기얀드주미얀 대담, 수렌 일행 카나즈 무용단 환영 공연

6. 아르메니아 규르지에 앙상블 레온 에스케니안 피아니스트 대담

7. 아르메니아 음악학자 알리나 파흐레반얀, 성악가 아르미크 바르다니얀 대담

8. 아르메니아 세반호수 성악가 에드바르드 마르가르얀 대담, 민요 기록 작업

9. 아르메니아 민속음악 조사 녹음 마치고 한국행, 음반 제작, 강연

 

부록 CD 수록곡

?

  1. 인천 설화 연구

    Views1355
    Read More
  2. 우사 김규식 평전

    Views1738
    Read More
  3. 코카서스산맥 민속음악 여행

    Views1193
    Read More
  4. 적벽가 명창, 활 쏘고 불 지르다

    Views1614
    Read More
  5. 몽양 여운형 평전

    Views1707
    Read More
  6. 세시풍속의 문학적 표상과 그 변용

    Views1347
    Read More
  7. 적벽가

    Views2234
    Read More
  8. 외국인을 위한 한국 현대문학

    Views211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 22 Next
/ 22
&CHROMELESS WINDOWS LAUN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