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서 명 국어와 국어학 2
지 은 이 성낙수
정 가 21,000원
발 행 일 2011년 8월 10일
상세정보 양장, 312쪽, 신국판(153mm×225mm)
I S B N 978-89-93799-38-5 94710
“국어와 국어학” 제2권. 이 책에서는 1권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글들을 실었다. 청소년들의 문어, 국한문 혼용 주장에 대한 논의, 학교 문법 용어와 품사 설정의 역사적 문제, 몇 가지 국어 통어론에 관한 문제, 통일에 대비한 언어 문제, 학교문법교육학회와 외솔회에서 개최했던 학술대회의 주제 강연 내용들이 실려 있다.
우리말글의 제 모습을 밝히려는 노력의 산물
요즘 우리말, 글에 대한 홀대는 새삼 다시 말할 필요도 없을 만큼 심하다. 영어는 철자 하나만 틀려도 부끄러워하는 사람이 우리말은 아무렇게나 쓰면서 뜻만 통하면 되지 않느냐고 되려 당당한 경우가 있는가 하면, 한국어는 조어력이 약하고 세밀한 의미표현이 힘들어 한자를 같이 써야 한다며 우리말을 반드시 한자의 힘을 빌려야 하는 절름발이 말인 양 폄하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우리말은 결코 가볍게 볼 언어가 아니고, 다른 언어의 힘을 빌려야 할 빈약한 말도 아니다. 모든 언어가 그렇듯이, 한국어도 긴 세월 동안 우리 민족의 정서와 사상을 담는 그릇으로 기능해왔다.
“국어와 국어학 2”는 그러한 우리말, 글을 연구해 우리말의 제 모습을 밝히는 데 힘쓰는 한 학자의 노력의 산물이다.
이 책에는 저자의 우리말, 글에 대한 애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독자들도 이 책을 읽으면 우리말을 아끼는 저자의 마음이 곳곳에서 묻어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성낙수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사기소리 237번지에서 출생
성당초등학교, 당진중학교,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에서 문학사,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 취득
현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외솔회 회장
주요 저서
“국어학서설”(공저), “제주도 방언의 통사론적 연구”, “우리말 방언학”, “논술강좌”, 고등학교 “작문”, “삶과 앎의 터전”(수필집), “한 세상 살다 보니”(수필집), “날이면 날마다 새로운 날”(수필집)
책머리에
초·중·고등학생들의 문어 연구
- 이른바 통신 언어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통신언어의 형태·통사론적 특징
3. 맺는 말
‘국·한자 혼용’ 주장의 문제점
1. 머리말
2. 한글전용론에 대한 비판의 문제점
3. 한자 사용 주장의 문제점
4. 맺는 말
이른바 ‘ㅎ 말음 체언’과 높임법
1. 머리말
2. ‘ㅎ 말음 체언’과 높임법
3. 맺는 말
학교 문법 품사 설정 및 용어 결정의 과정과 문제점
1. 머리말
2. ‘학교 문법’의 품사와 용어 설정의 과정과 문제점
3. 맺는 말
통일에 대비한 언어 문제
- 언어 규범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맞춤법에서의 차이와 해결책
3. 표준어
4. 맺는 말
중국 연변 지역의 한국어 연구
- ‘조선말표준발음법’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조선말표준발음법’의 특징
3. 맺는 말
불규칙 용언의 학교 문법, ‘한글 맞춤법’에 수용된 양상과 기본형태 분석
1. 머리말
2. 불규칙 용언의 학교 문법, ‘한글 맞춤법’에서의 수용 양상과 기본형태 분석
3. 맺는 말
외솔과 학교 문법
1. 머리말
2. 외솔의 품사 설정과 문법 용어의 정립
3. 맺는 말
도움풀이씨(補助用言)의 재고
- 하(다)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도움풀이씨의 의미·통사구조
3. 맺는 말
이른바 도움그림씨 ‘싶다’의 연구
1. 머리말
2. ‘싶다’의 통사·의미적 특성
3. 맺는 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국어생활사의 교수 학습 과제
1. 머리말
2. 외국인들을 위한 한국어 문법 교수 학습 과제
3. 국어 생활사 교육
4. 맺는 말
세상과 어울리는 한국어와 한글
1. 머리말
2. 한글과 종교, 한국어 교육, 우리말·글의 문제
3. 맺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