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분류 예술 / 국악
총 서 명 경기관광공사 지역문화한마당 01
도 서 명 다시 보는 지영희 민속음악 연구자료집
엮 은 이 성금연
출 판 사 채륜
정 가 69,000원
발 행 일 2014년 10월 31일
상세정보 양장, 812쪽, 4×6배판(188mm×257mm), 책등 높이 45mm
I S B N 978-89-93799-99-6 93670
▶ 이 책은 평택호 예술관 내 〈지영희 특별전〉에서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전시 기간: 2014.10.31~2015.01.31)
우리의 민속음악을 사랑하고, 지키고, 가르치고자 했던
지영희의 네 번째 자료집
해금산조와 시나위의 명인이었던 지영희. 악기를 잘 다루었을 뿐 아니라 작곡과 편곡에도 능했고 후학들에게 모범적인 지도자의 모습까지 보여, 수많은 수식어를 붙여도 재능을 다 표현할 길이 없었던 그가 남긴 기록물을 모아 엮었다.
이 책은 전에 출간되었던 『池瑛熙民俗音樂硏究資料集』의 자료는 물론 새로이 발견된 자료까지 더해 출간하는 네 번째 자료집이다. 피리 산조, 피리 신아위, 민요 악보, 합주곡 채보, 평조 회상 해금, 현금 풍류 및 피리, 대금, 아쟁의 교본 등의 자료와 함께 지영희의 ‘무속장단’을 연구한 논문까지 수록하여 보는 이의 이해를 돕고 있다.
국악계의 거장, 지영희
그가 남긴 위대한 기록을 다시 보다
유능한 연주자였고, 훌륭한 작·편곡자였으며 악단의 통솔력 뛰어난 지휘자였던 지영희. 또 그는 우수한 민속음악학자였고 후학들에게는 모범적인 지도자이기도 했다. 한 사람을 수식할 수 있는 말이 이렇게 많다는 것은 그 사람이 어떤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서 있던 사람이라는 말이 될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지영희’라는 이름에 익숙하지 않다. 무심한 세월 탓에 그의 업적도, 이름도, 그가 남긴 자료도 일부는 소실되어 버린 것이다. 아마 그가 남기고 간 작품, 악보, 각종 기록물이 오늘날까지 전부 잘 전해졌다면 그는 아마 세계적인 음악가로 이미 높이 추앙받았을 것이다.
이 자료집은 지영희가 남긴 이런 위대한 기록물을 후세에 길이 남기고자 엮은 것으로, 1986년 첫 자료집 출간 이후 벌써 네 번째 출간하는 자료집이다. 이번 자료집에는 기존의 자료인 피리산조, 민요 악보, 민속장고, 합주곡 채보 등의 자료를 수록한 것은 물론 새로 발견된 지영희의 악보와 손녀 최희연의 논문 「지영희의 『池瑛熙民俗音樂硏究資料集』 中 경기무속 장단 연구」가 추가되어 더욱 완성도 있는 자료집으로 재탄생했다. 추가된 자료를 통해 읽는 이들에게 만족감을 안겨 주고, 지영희 음악 세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자료집을 기반으로 앞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서, 경기음악의 신세계가 열릴 수 있기를 바란다.
엮은이: 성금연
지영희의 부인으로, 가야금산조의 명인이다.
지영희(池瑛熙) 소개
본명은 지천만(池千萬)으로 1909년 9월, 경기도 평택에서 경기 세습무 지용득 명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조항련에게 호적을, 정태신에게 양금을, 지용구에게 해금을, 양경원에게 피리를, 김계선에게 대금풍류를, 방용현에게 대금산조와 풍류를, 최군선에게 농악을, 오덕환에게 무용 장고를, 박춘재에게 경기소리와 서도소리를, 신쾌동에게 거문고산조를, 김상기에게 거문고풍류를 배웠다. 이처럼 여러 무악 명인들에게 장단 등을 배웠으며 가야금과 아쟁은 자득했고 해금산조, 피리산조 연주자로 유명하다.
1937년 조선음악연구소에 입소하여 악사가 된 이후, 1938년에는 한성준무용단(韓成俊舞踊團)의 반주악사로 활약하였으며, 1946년에는 서울중앙방송국 전속국악사가 되었다.
1960년에는 국악예술학교 교사로서 유망한 신인들을 많이 길러냈다.
1962년 한국대표로 참석하여 프랑스 파리 세계민속예술대제전에서 우리 음악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린 것은 매스컴을 통해 널리 소개되었다.
1963년 한국국악예술학교 부설 학생국악관현악단을 조직하였으며, 1965년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상임 지휘자 취임하여 활동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활동으로 1967년에는 서울시 문화상을 수상하기도 하였으며, 1973년에는 중요무형문화재 제52호 시나위 기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976년 미국 하와이에 한국민속예술원을 창설하고 활동하였으나 1980년 작고하여 우리 국악계에 평생을 헌신한 고귀한 삶을 마감하였다.
네 번째 자료집을 여는 글 | 지영희 명인의 창작음악_ 강봉천(유족 대표, 국악작곡가)
축하하는 글, 하나 | 그리운 그날들을 돌아보면서_ 지성자(유족, 명인)
축하하는 글, 둘 | 네 번째 자료집을 출간하며_ 지순자(유족, 명인)
축하하는 글, 셋 | 우리 음악의 세계화를 선도한 지영희_ 김보경
축하하는 글, 넷 | 자료집의 네 번째 발간을 축하하며_ 최희연(유족)
옛글을 붙이다
인사의 말씀_ 성금연
이 책을 펴내면서_ 지성자
이력履歷 및 경력사항經歷事項
01 네 번째 자료집에 더하는 악보
02 피리 산조散調
03 피리 신아위神娥慰
04 피리 평조平調
05 세적 풍류細笛 風流 피리
06 피리 교본
07 음악 해설
08 민요 악보
09 합주곡 채보
10 평조 회상 해금平調 會相 奚琴
11 당적보 취타唐笛譜 吹打
12 양금 풍류洋琴 風流
13 현금 풍류玄琴 風流
14 대금大笒 교본
15 아쟁牙箏 교본
16 무속장고巫俗 長皼
17 민속장고民俗 長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