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분류 문학이론 / 아동문학론
도 서 명 한일아동문학 수용사 연구
지 은 이 김영순
출 판 사 채륜
정 가 22,000원
발 행 일 2013년 06월 30일
상세정보 반양장, 310쪽, 신국판(153mm×225mm)
I S B N 978-89-93799-78-1 93800
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일본의 아동문학에 대한 수용사적 고찰
“한일아동문학 수용사 연구”는 근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일본의 아동문학을 수용사적 관점에서 풀어낸 책이다. 저자가 아동문학연구자로 처음 발 디뎠을 때부터 지금까지 약 10년간의 연구 성과가 집약된 결과물로, 전래동요․동요․동화 등의 비평이론․작가정신․시대정신․동시대적인 경향․당대의 사상이나 철학 및 이념 등의 수용에 대해 한국과 일본 아동문학을 중심으로 하여 그들의 영향 관계를 밝히고 있다. 이 책을 통해 한국과 일본의 아동문학 수용사를 살펴보며 이 ‘수용’이란 단어가 실은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수용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오랜 역사 속에서 주고받고 다시 주고 다시 받아들이는 반복의 과정을 함께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아동문학이란 장르가 들어서면서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온
상호 ‘수용’적 관계 속의 한일아동문학
문화와 문학을 비롯한 모든 예술분야가 수용되어 정착되어 가는 과정에는 어느 한 쪽의 맹목적인 수용이나 주입, 또는 일방적인 압력이나 강압에 의한 흐름이 아닌 당시의 사회상과 그 시대 대중의 요구와 희망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또는 외래문화의 수용을 통해 그 민족의 전통적인 면이 새로운 시대의 흐름 속에 복권되고 재편입되어 그 가치가 재평가되기도 한다. 그런 의미에서 아동문학도 마찬가지이다. 근대에 들어서 부각된 어린이라고 하는 새로운 화두는 한일 양국에 아동문학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한국의 입장에서나 일본의 입장에서나 근대 이후부터 1920년대까지는 어느 한쪽의 일방통행이 선행되었다고 한다면, 1930년대에는 그 양상이 달라지며 여러 만남이 교차한 시대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교차는 중․일전쟁 이후, 문명이나 비문명이란 잣대조차 댈 수 없고 명분 또한 찾아보기 힘든 일본의 일방적인 전쟁으로 인해 그 소용돌이 속으로 돌입해 가고 휩쓸리게 된다. 이 책은 그러한 과정에서 한일 양국이 근대 이후 급변하는 정세 속에 새로운 시대 흐름이 반영됨에 따라, 앞선 시기에 대한 비판과 대안을 통해 아동문학이 지금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쳐 시대의 축적을 드러내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제목에서 쓰인 ‘수용’이라는 용어는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수용이라기보다는 오랜 역사 속에서 주고, 받고, 다시 주고, 다시 받아들이는 반복의 과정 또한 포함되어 있으며, 그러한 ‘수용’ 속에는 영향, 관계, 비교, 투영, 접목, 적용, 차용, 공명, 공감, 중첩 등이 씨실과 날실처럼 서로 엮여 들어가 있음을 이 책을 읽으면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과 일본 양국의 수용만이 아닌, 두 나라를 중심으로 수용사를 논하는 과정에서 유럽, 미국, 중국 등의 영향 및 수용이 그 이면에 깔려 있음도 함께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근대부터 현대까지 한국과 일본의 아동문학 변천사
그들은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을까?
이러한 “한일아동문학 수용사 연구”는 저자의 연구에 따른 시기적 순서에 맞춰 총 9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첫 번째 글인 ‘‘황소와 도깨비’는 이상의 창작인가’는 저자가 처음으로 아동문학의 길에 들어설 수 있게 해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각각의 내용을 간략하게 살피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요’나 ‘동화’ 장르의 형성과 용어의 발생 및 그 용어 속에 내포된 의미의 변화를 다룬 ‘일본 동화 장르의 변화 과정과 한국으로의 수용 -일본 근대아동문학사 속에서의 흐름을 중심으로-’나, ‘근대 한일아동문학 유입사 연구 -일본 동요 장르의 한국으로의 수용-’을 통해 중국, 독일, 미국, 영국 등의 동요 이론 및 시의 특성 등이 함축되어 있음을 알아볼 수 있다. 또한 ‘‘황소와 도깨비’는 이상의 창작인가’나, ‘일본 전래 동요 ‘안녕 삼각 또 와라 사각’과 제주도 꼬리따기 노래 그림책 “시리동동 거미동동”과의 관계’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근대 시기에 일본에서 전해진 이야기가 현대로 넘어오면서 그림책으로 재창작되고, 이들 한국의 뛰어난 그림책이 다시 일본으로 수용되는 양상이 펼쳐졌음을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당대성, 동시대성을 통한 수용 및 영향관계에 대해서는 1930년대가 주요 배경이 된 ‘한국과 일본 어린이의 전쟁 인식 -중․일전쟁 직후 “매일신보”와 “소년구락부”에 게재된 소년소녀 작문을 중심으로-’와 ‘1930년대에 교차하는 한국과 일본의 아동문학’을 통해 풀어 본다. 전자는 중․일전쟁 직후의 전쟁 인식이 한․일 어린이들에게 끼친 폐해에 대해서 논하고 있고, 후자는 프롤레타리아 운동에 따른 양국의 연대 상황을 살펴보고 있다.
한편 글에 따라서는 인간의 근원적이고 근본적인 부분을 탐구함에 있어서 조응하거나, 자연발생적인 양상으로 드러난 글도 몇 편 된다. ‘미야자와 겐지와 권정생 동화가 지닌 소통의 근원 탐구’나, ‘한일 근대 창작 동화 속에 투영된 일생의례의 특징 -마해송의 ‘어머님의 선물’과 百田宗治의 ‘般若の面’을 중심으로-’ 등이 그러한데, 광의의 의미에서 수용사 속에 포함하여 이 책에 함께 넣어 엮었다. 이와 같이 두 나라가 남긴 수많은 흔적들을 서로의 영향 관계 속에서 살피는 일은 아동문학의 발전에 토대를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변화 과정을 점검하고 오늘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어줄 것이다.
김영순
1999년 일본 오사카에 있는 바이카(梅花)여자대학교 아동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8년 귀국하여 건국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를 거쳐 현재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에서 재직하고 있다. 박사논문으로 ‘일제강점기 한일 아동문학 교류사 연구 -조선총독부기관지 “매일신보” 어린이란을 중심으로-(植民地時代の日韓児童文学交流史研究 -朝鮮総督府機関紙“毎日申報”子ども欄を中心に-)’(梅花女子大學, 2007. 3, 일본어)가 있으며, 그 외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의 연구 결과물로서, 저자가 아동문학연구자로 초입에 들어선 시절에 쓴 글부터 그 후 10여 년에 걸친 연구 흔적들과 발자취를 담고 있다.
책머리에
‘황소와 도깨비’는 이상의 창작인가
1. 들어가며
2. 金海卿과 ‘황소와 독개비’
3. 이상과 ‘황소와 도깨비’
4. ‘황소와 도깨비’와 토요시마 요시오의 ‘천하제일의 말’
5. ‘황소와 도깨비’는 이상의 번안인가
6. 나오며
일본 전래 동요 ‘안녕 삼각 또 와라 사각’과 제주도 꼬리따기 노래 그림책 “시리동동 거미동동”과의 관계
1. 꼬리따기 노래 그림책 “시리동동 거미동동”
2. 제주도 꼬리따기 노래의 원형
3. 일본과 한국의 꼬리따기 노래
4. 그림책 노랫말에서 사라진 ‘안녕 삼각 또 와라 사각’
5. 그림책 조형으로 재탄생한 삼각형과 그 의미
6. 나오며
일본 동화 장르의 변화 과정과 한국으로의 수용
-일본 근대아동문학사 속에서의 흐름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어린이를 위한 옛이야기 창작물 ‘오또기바나시’-1894년 이후
3. ‘동화 동요’의 시대, 작가정신과 창작동화-1918년 이후
4. 용어의 혼란기-1926년 이후
5. 용어의 흐름, 다각도에서 들여다보기
6. 한국으로의 수용
7. 나오며
미야자와 겐지와 권정생 동화가 지닌 소통의 근원 탐구
1. 들어가며
2. 인간과 동물의 교류
-‘첼로 켜는 고슈’(미야자와 겐지), ‘눈길’(권정생)
3. 동식물의 생생한 삶
-‘똘배’(미야자와 겐지), ‘산버들나무 밑 가재 형제’(권정생)
4. 그림책, 새로운 소통으로의 확장
-“오츠벨과 코끼리”(미야자와 겐지, 고바야시 도시야), “강아지똥”(권정생, 정승각)
5. 나오며
한국과 일본 어린이의 전쟁 인식
-중․일전쟁 직후 “매일신보”와 “소년구락부”에 게재된 소년소녀 작문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일본어린이잡지 “소년구락부” 작문
3. “매일신보” 게재 ‘황국위문작문가작’
4. 나오며
1930년대에 교차하는 한국과 일본의 아동문학
1. 들어가며
2. 마키모토 구스로와 1930년대 초 한국의 프롤레타리아 동요
3. 현덕과 츠보타 죠지의 동시대성
4. 나오며
이원수 비평 이론 속에 투영된 일본 아동문학 이론
1. 들어가며
2. 이원수의 7․5조 동요 인식과 일본의 7․5조 동요 이론
3. ‘아동 문학 입문’에서의 동화․소년소설이론 특징과 일본의 아동문학이론
4. 나오며
근대 한일아동문학 유입사 연구
-일본 동요 장르의 한국으로의 수용-
1. 들어가며
2. 일본에서의 동요 태동 특징과 동요 이론
3. 일본과 한국에서 통용되는 용어로서의 동요
4. 동요 이론, 한국으로의 수용 특징
5. 동요 작품, 한국으로의 수용 특징
-사이죠 야소의 ‘카나리아(かなりや)’와 고한승의 모작 ‘엄마업는 참새’ 비교
6. 나오며
한일 근대 창작 동화 속에 투영된 일생의례의 특징
-마해송의 ‘어머님의 선물’과 百田宗治의 ‘般若の面’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내적 체험으로서의 통과의례
3. 통과해야 할 원초적인 지점으로의 회귀
4. 퇴행점이 되는 연령대가 내포한 의미
5. 제도로서의 이니시에이션의 상실과 퇴행의 의미
6. 나오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