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분류 역사/문화, 민속학
총 서 명 동양학총서 45집
도 서 명 한일 아동 성장 관련 이미지 자료집
부 제 의례적 특성을 중심으로
엮 은 이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정 가 22,000원
발 행 일 2013년 03월 30일
상세정보 양장, 168쪽, 크라운판(173mm×245mm)
I S B N 978-89-93799-72-9 94380
동양학총서 45집,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자료총서-한일 아동 성장 관련 이미지 자료집: 의례적 특성을 중심으로”는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 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이라는 주제 아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의 결과물이다. 아동 의례와 관련한 ‘이미지’ 자료를 수집하여 엮었으며 충분한 해설을 함께 실었기에 이미지를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미지로 보는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아동 의례 자료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이 펴낸 이번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자료총서-한일 아동 성장 관련 이미지 자료집: 의례적 특성을 중심으로”는 동양학총서의 45집으로,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 문화 전통의 지속과 변용: 일생의례와 세시풍속’ 과제와 관련한 연구의 연장선이다.
한국 잡지 자료와 일본 잡지 자료를 두루 참고하여 살폈는데 이 시기가 가지는 특성상 아무래도 한국 자료보다는 일본 자료의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의례적인 상징을 띠는 자료라면 가능한 수록하려 했다는 점에서 대상 자료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문서 자료가 아니라 시각 자료인 ‘이미지’자료를 택했다는 점과 성인이 아닌 ‘아동’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의 ‘일생의례 자료집’과의 차별성을 찾을 수 있다. 이 자료집이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의 아동의 성장과 관련한 의례가 어떤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추적하고 그것이 지니는 문화사회적 의미를 총체적으로 규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엮은이 소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발간사
책머리에
1장 탄생과 죽음
『어린이』 표지(1931. 8.)
「漫畵統計有言 一年間出生兒童數 六十萬三千四百七人」(一松, 1935. 5.)
『金の船』 목차(1920. 2.)
「桃太郎の妹」(相馬泰三, 1920. 4.)
「ミニイとヰニイ」 속그림(テニスン, 1920. 8.)
『金の船』 표지(1920. 10.)
「印度イソップ物語」(楠山正雄, 1921. 8.)
「靜かな夢」(北村壽夫, 1921. 12.)
「자아-나아갑시다(어린이날)」(1925. 5.)
「자장가」(슈벨-드 曲, 1938. 8.)
「お人形焼く家」(北原白秋, 1919. 10.)
「摩以亞物語」(鈴木三重吉, 1919. 11.)
「人形」(柳澤健, 1919. 11.)
「サンタクロースの贈物」(山本作次, 1919. 12.)
「鈴子さんのお母様」(有島生馬, 1920. 1.)
「よい友達」(神原泰, 1920. 2.)
「二つの椎の實」(峰千代子, 1924. 12.)
『金の星』 속표지(1925. 5.)
「蝉の子守唄」(島崎藤村, 1925. 5.)
「ワーシャの出世」(水野光一, 1925. 7.)
「おちち」(東京 溱一訓, 1926. 3.)
『어린이』 표지(1929. 7.)
『어린이』 표지(1930. 8.)
「天の川」(濱田廣介, 1920. 7.)
「栞」(藤森秀夫, 1920. 11.)
「夢の國」(霜田史光, 1922. 3.)
『童話』 표지(1923. 8.)
「ゐなかの星祭」(草葉影二, 1925. 12.)
「桃太郎」(濱田廣介, 1926. 4.)
「點りし燈」(北村壽夫, 1926. 5.)
「耳とり鬼」(松村栄一, 1920. 4.)
「蝋燭」(千葉省三, 1921. 8.)
「閻魔さま」(島木赤彦, 1921. 10.)
「小さい天使」(細川武子, 1925. 5.)
「文ちゃんのお見舞」(與謝野晶子, 1925. 8.)
「夢」(川上四郎, 1925. 11.)
「リンコルンの母」(久米舷一/岩岡とも枝畫, 1926. 11.)
2장 성장과 기원
『어린이』 표지(1923. 10.)
『어린이』 표지(1925. 11.)
『어린이』 표지(1929. 3.)
『어린이』 표지(1930. 11.)
「新家庭內容公開」(1932. 6.)
「金枝玉葉」(1906. 10.)
「英國東宮殿下と其家庭」(1907. 4.)
「梨本宮の御家庭」(1908. 6.)
「나의 어렷슬」(방정환, 1928. 5.)
『어린이』 표지(1930. 1.)
『어린이』 표지(1930. 9.)
「家庭裁縫欄-첫겨울 여아복 만드는 법」(任貞懗, 1935. 12.)
「신시대잡지 어린이차지-방글이삣쭉이」(駱山画家, 1941. 2.)
「エバナシ 天長節の飾物」(北澤楽天, 1906. 11.)
「お人形の話」(谷村文子, 1918. 7.)
「銀の翼の生えた人」(前田晃, 1920. 2.)
「四丁目の犬」(野口雨情, 1920. 3.)
「春風のうた」(茅野雅子, 1920. 3.)
「人形の涙」(藤森秀夫, 1920. 6.)
「人形の白粉」(藤森秀夫, 1920. 7.)
「ほそみち」(西條八十, 1920. 10.)
「きりゞす」(三木露風, 1920. 11.)
「ロビンのおぢいさま」(久保田万太郎, 1920. 12.)
「人形の黒子」(岩井信實, 1921. 10.)
「靑い目人形」(野口雨情, 1921. 12.)
「童謡劇 二匹の犬と少女」(野口雨情, 1922. 1.)
『金の星』 표지(1922. 10.)
「お人形の夢」(野口雨情, 1922. 10.)
「かたわの玩具」(大戸一郎, 1923. 7.)
「三つの人形」(西條八十, 1925. 8.)
「鈴の音(推薦)」(山岡静子, 1926. 4.)
3장 결혼과 신성
『새벗』 표지(1926. 2.)
「初夜夢」(申鼎言/金態超 畵, 1937. 7.)
「朝鮮史上의 名夫人列傳-其三 女流叅謀家李厚載夫人」(車相瓚, 1937. 6.)
「經濟的인 ‘新婦’」(崔永秀, 1939. 2.)
「시집사리 公開狀」(雲坡生, 1939. 11.)
「馬鹿のイワン」(山野虎市, 1923. 9.)
「鼠の嫁入り」(野口雨情, 1924. 1.)
『金の星』 속그림(1925. 9.)
「京城民間 慈善機關歷訪記-救世軍育兒홈」(1933. 1.)
『朝光』 뒷면 광고(1937. 3.)
『家庭の友』 표지(1938. 11.)
「나의 보물 누데기옷」(林香山, 1939. 1.)
「피눈물로적시는 안해의 편지」(1939. 5.)
「滿三ッつ」 속그림(1906. 10.)
「小人の謎」(南部修太郎, 1918. 8.)
「よろこび」(1919. 1.)
「母親の留守」(林茅里, 1919. 1.)
「鈴子さんのお母様」(有島生馬, 1920. 1.)
「銀の翼の生えた人」(前田晃, 1920. 2.)
「燈籠祭」(小林哥津子, 1920. 12.)
「エス様」(藤森秀夫, 1920. 3.)
「天のつかひ」(廬谷廬村, 1921. 8.)
『童話』 표지(1921. 9.)
「神の國」(北村壽夫, 1921. 10.)
「母さん」(玉置光三, 1922. 1.)
『童話』 표지(1922. 11.)
「夢の蛙」(與謝野晶子, 1926. 6.)
4장 기타 자료
「茶目の不埒」(周山, 1909. 3.)
『金の船』 광고(1921. 3.)
「桃の節句」(中島狐島, 1922. 3.)
「落葉かご(三)ー小さな手紙集 雛人形からお嬢さまへ」(1924. 3.)
「懸賞考物答案」(小島武夫, 1905. 2.)
「繪話 兵隊ごっご」(北澤楽天, 1905. 4.)
「兎の兵隊」(北澤楽天, 1905. 8.)
「虫ぼし」 속표지(渡部審也 畫, 1907. 8.)
「大將の傷」(靑村,1908. 5)
「刈込み訓練」(島田啓三, 1933. 1)
「兄さんの出征」(林唯一畵, 1937. 11)
「全國兒童作文入選發表」(1938. 5)
제목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