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분류 예술 / 음악 / 국악 / 판소리
총 서 명 충남문화재단 중고제 충청소리제 1
도 서 명 꽃피는 중고제 판소리
(붙임자료 - ‘중고제 판소리’ 오디오 CD)
지 은 이 충남문화재단·국악음반박물관 편 / 노재명 집필
출 판 사 채륜
정 가 40,000원
발 행 일 2016년 12월 1일
상세정보 반양장, 372쪽, 신국판(152m/m×225m/m), 책등 높이(20mm)
I S B N 979-11-86096-41-3 93670
자연을 닮은 소리, 개성 넘치고 밝고 우아한 소리, 되살리고 싶은 한국의 소리!
바로 중고제 판소리이다.
획일화된 교육체계 속에서 남들만큼만 하고 살기 바쁜 현대사회. 이러한 상황에서 옛 중고제는 각 명창들마다 개성이 살아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개개인의 특성이 존중되는 자연미는 아주 매력적인 요소인 셈이다.
사람마다 지닌 고유의 장점을 인정하고 살려주는 중고제의 미학이 현대인의 삶을 더 멋지고 풍요롭게 만들어주지 않을까. 이 책이 중고제의 뿌리를 찾고 잃어버렸던 예술혼을 되찾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삶의 속도에 맞춰 책 읽듯, 말 하듯 기품 있는 중고제 판소리
중고제는 호걸제, 동편제, 서편제와 더불어 판소리의 여러 유파 가운데 한 가닥이다. 오래된 중고제는 동편제나 서편제보다 더 고풍스러운 느낌을 풍기며 충청도, 경기의 어감을 닮았다.
한 가지 예를 들면 중고제에서는 충청도 말투처럼 소리가 끊어지는 듯하다가 이어지고 이어지는 듯하다가 스르르 끝나고 설명하는 아니리인 듯하다가 어느새 노래 창이 되고 하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인위적인 감이 적고 굉장히 자연미를 풍겨 매력적이다.
즉흥성이 뛰어난 소리
중고제 판소리는 최대한 멀리까지 크게 지르는 발성, 인위적으로 꾸며서 노래하지 않고 창인 듯 말인 듯 하는 소리, 호령조, 아니리광대, 독서풍의 창법, 기품있는 정가 창법,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분방하게 구사하는 소리, 즉흥적으로 작편곡하여 부르는 창, 처음에는 담백하게 출발해서 점점 흥미를 유발시켜 나가는 방법, 새소리나 일반인들이 흉내내기 어려운 소리 묘기 보이기 등 매우 다양한 소리들이 공존했다.
이렇게 각 명창들마다 개성이 극도로 살아있고 개개인의 특성이 존중되고 자연미가 있다는 점에서 훌륭한 교훈과 지혜를 얻을 수 있는 문화유산이 중고제 판소리이다.
왜 중고제 판소리 흔적을 찾아 헤맸는가
남들만큼만 평범하게 살아가는 것이 목표가 되어버린 한국 현대사회. 점차 다양성을 잃고 비슷한 모습에 마음의 안정감을 느낀다. 이렇게 획일화된 모습 속에서 어떻게 하면 나답고 풍류 가득한 멋있는 삶을 살 수 있을까 하는 해답이 중고제 판소리에 들어있다. 이 책이 중고제의 뿌리를 찾고 잃어버렸던 예술혼을 되찾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엮은이: 충남문화재단·국악음반박물관
글쓴이: 노재명(국악음반박물관 관장)
조지아에 국악음반박물관 부설 세계민속음악연구소를 설립하였다.
국악 음반과 서적 총 400여 종을 기획 제작하였고 1986년부터 현재까지 국악 자료 63,000여 점을 수집, 정리하였다. 26년에 걸쳐 국악자료 집성 인터넷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1986~2005년 20여 년 동안 국악 음반 사전 7권(장르별 총 3,000여 쪽)을 완간하였다.
중고제 공연, 국악 고음반 전시회, 국악 유성기음반 복원 연주회, 판소리 3명창 특별공연, 귀명창대회, 적벽가 연속 감상회, 판소리 명창의 발자취를 찾아서, 소리MC 선발대회, 100개의 별 전주에 뜨다(명인명창 전주에 모이다) 행사, 한국 방짜 국악기 전시회, 한국-실크로드 국제 아리랑 축제, 지영희 특별전 등을 기획 연출하였다.
머리말 (‘제1회 중고제 충청소리제’ 축사, 환영사_충남문화재단)
‘제1회 중고제 충청소리제’ 개최를 축하합니다 (글_안희정)
‘중고제 충청소리제’에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글_이종원)
‘제1회 중고제 충청소리제’ 해설(글_노재명, 자료 제공_국악음반박물관)
제1장 중고제 명칭 유래와 소리 특징
1. 중고제 명칭 유래, 중고제가 위축된 이유
2. 중고제 판소리 특징
3. 판소리 공연 양식과 독창성, 판소리 정신
4. ‘중고제 충청소리제’ 탄생 의의와 방향
제2장 호걸제·중고제, 충청도 명창들
1. 황해천
2. 염계달
3. 방만춘
4. 방진관·방응규(방응교)
5. 고수관
6. 김성옥
7. 김정근
8. 김창룡
9. 김창진
10. 김세준
11. 김차돈
12. 김제철
13. 이석순
14. 최낭청
15. 송수철
16. 임창학
17. 정춘풍
18. 한송학
19. 윤영석
20. 정흥순
21. 최상준
22. 백점택
23. 백점봉
24. 이창운
25. 황호통
26. 박상도
27. 김충현
28. 김봉학
29. 김석창
30. 김덕순
31. 김숙자
32. 유공렬
33. 이동백
34. 김봉문
35. 심정순
36. 심재덕
37. 심매향
38. 심화영
39. 박팔괘
40. 박동진
제3장 심정순 일가 전통가무악 자료 현황과 보존 방안
1. 판소리·가야금 명인 심정순 음반 현황
2. 가야금·거문고·아쟁·양금·해금·병창 명인 심상건 음반 현황
3. 가무악 명인 심매향 음반 현황
4. 가무악 명인 심화영 음반 현황
5. 심정순·김창룡 일가 전통가무악 등 중고제 자료 보존 방안
제4장 역대 최고의 명창, 공주 양반 광대 정춘풍
1. 동편제 3대 계파, 송흥록·김세종·정춘풍 명창 계보의
판소리 차이점과 특징
2. 가왕 송흥록, 그리고 가신 박기홍의 스승 정춘풍,
과연 누가 소리의 최고봉인가
제5장 새로 발굴된 중고제 관련 자료들
1. 중고제 명창 김창진 유성기음반
2. 중고제 명창 심매향 신유행가 유성기음반
3. 중고제 명창 김정근의 특장 무숙이타령 사설 완전한 상태로 발견
4. 중고제 명창 신경봉 가야금병창 유성기음반
5. 중고제 명창 이동백 단가 <진국명산> 유성기음반
제6장 제1회 중고제 충청소리제 공연 내용과 해설
1. 제1회 중고제 충청소리제 공연 순서, 곡목, 해설
2. 제1회 중고제 충청소리제 공연 출연진 소개
제7장 중고제 자료 모음
더하기 중고제 판소리 - 붙임자료 CD 수록곡 가사와 해설 글
CD 수록곡 순서(선곡·고증·가사 채록·글_노재명)
1. 이동백 잡가 <새타령>(1935년 녹음, 음원 제공_국악음반박물관)
2. 김창룡 도창 창극 춘향전 중 <어사 출도>
(1934년 녹음, 음원 제공_국악음반박물관)
3. 김창진 판소리 춘향가 중 <몽중가>(1931년 녹음, 음원 제공_국악음반박물관)
4. 김세준·김소희·조명수·임소향 민요 <성주풀이>
(1936년 녹음, 음원 제공_국악음반박물관)
5. 김차돈 판소리 춘향가 중 <쑥대머리>(1934년 녹음, 음원 제공_국악음반박물관)
6. 심정순 판소리 춘향가 중 <천자 뒤풀이>
(1911년 녹음, 음원 제공_국악음반박물관)
7. 심상건 가야금병창 춘향가 중 <긴 사랑가>
(1930년 녹음, 음원 제공_국악음반박물관)
8. 심매향(소리) 김해선(가야금) 춘향가 중 <자진 사랑가>
(1925년 녹음, 음원 제공_국악음반박물관)
9. 심화영 판소리 심청가 중 <범피중류>(2001년 녹음, 음원 제공_이애리)
10. 심태진·이애리 수궁가 중 <가자 어서 가>
(노화월, 심상건제, 2014년 녹음, 음원 제공_이애리)
11. 심태진 민요 <남원산성>(2014년 녹음, 음원 제공_이애리)
12. 백점봉 단가 <별조 유람가>(1928년 녹음, 음원 제공_국악음반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