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례와상제례_표지(온라인).jpg




도서분류 역사·문화 / 민속학 / 근대사

도 서 명 혼례와 상제례

부 제 명 조선총독부 기관지 조선소재

엮 은 이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옮 긴 이 최인학, 김민지

출 판 사 채륜

정 가 17,000

발 행 일 20130830

상세정보 반양장, 237, 신국판 변형(152m/m×215m/m)

I S B N 978-89-93799-77-4 93380

    

   

책소개.png

일제강점기 자료를 통해 만나는 우리의 혼례와 상제례

이 책은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였던 조선에 게재되었던 글 중에 우리의 혼례와 상제례에 관한 내용을 번역하여 엮었다.

이 책을 통하여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사람들이 혼례와 상례 그리고 제례를 어떻게 치렀는지 엿볼 수 있다. 특히 조선총독부 기관지에 게재되었던 글을 기초자료로 하였다는 점에서 조선총독부가 조선인의 의례를 바라보는 관점이 어떠했는지도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출판사서평.png

사람의 생에 중요한 의식인 혼례와 상제례

일제강점기의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떻게 치렀을까?

혼례는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라고 불릴 만큼 사람의 생에 아주 중요하다. 남녀가 새 가정을 이루고 아이를 낳아 다음 세대로 삶을 이어가는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는 혼례를 특히 더 중요하게 여겼다. 혼례를 기준으로 아이와 어른을 구분하였고, 혼례를 치르지 않았다면 나이가 많더라도 어른으로 생각하지 않을 정도였다. 그에 못지않게 상례와 제례도 매우 중요하게 꼽힌다. 사람이 생이 끝나는 시점이 죽음인 만큼 이승에서의 삶을 마무리하고 저승에서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치르는 의례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중요한 혼례와 상제례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짐은 매우 당연한 일이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는 한국의 학자뿐 아니라 일본의 학자들도 우리의 의례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보였다. 특히 일본의 학자들은 일본의 사례와 비교하기 위해 더욱 열을 올려 연구했기 때문에 이것을 살피면 우리의 혼례와 상제례 문화를 살필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당시 학자들이 혼례와 상제례에 관해 쓴 수십 편의 논문 중에 일제강점기에 발행되었던 잡지 조선에 게재되었던 것을 선별하여 번역했다.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제시하며 그것에 나름의 해석을 밝히기도 하고, 일본과 우리의 의례를 비교하기도 하였다. 여기에 한국의 혼례 문화를 총체적으로 다룬 이능화의 글이 포함되어 기초적인 자료의 구실을 해 주고 있다. 즉 여러 학자들의 다양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일제강점기 우리의 혼례와 상제례 문화를 조금이나마 알아볼 수 있는 자료가 된다는 말이다.

 

 

조선총독부의 제국주의적 태도와 우리의 의례

어느 집단에 속한 사람은 그 집단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어렵기 때문에 제3자의 시선이 필요할 때가 있다. 하지만 그 시선에 어떤 목적이나 정치성, 잇속이 포함되는 순간 그 객관성은 깨져 버린다.

조선총독부가 조선인을 바라봤던 관점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조선을 식민 통치하기 위해 세워졌던 조선총독부, 그들이 조선인에 대해 어떤 지배 정책을 세웠는지 안다면 짐작이 가능하다. 그들은 조선인의 민족성을 말살시켜 황국신민화하려는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우리 문화의 부정적인 면을 강조하여 이것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뿐 아니라 내선일체를 끊임없이 말하며 조선인이라는 독립된 민족을 부정하려 했다. 잡지 조선에 실린 관련 글들이 객관적인 수치를 통해 우리의 의례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당시 우리의 의례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자료라고 볼 수 있겠으나, 그 속에 조선총독부의 제국주의적인 입장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는 점은 아마 조선이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였다는 점에서 말미암은 일일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이 더 의미가 있다. 단순히 우리의 전통 혼례와 상제례 문화를 돌아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선총독부의 제국주의적 관점에서 본 우리의 혼례와 상제례를 알 수 있다는 점이 의의가 아닐까 생각한다. 일본의 식민 통치 정책으로 인해 우리의 전통 의례가 어떻게 변용되고 어떤 점이 지속되어 왔는지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일반인이 잡지 조선의 원문을 읽을 수 있는 기회는 매우 드물고, 읽는다고 해도 읽기가 까다로운 고문들이기에 이 책이 일제강점기 우리 의례에 관심을 가졌던 사람들에게 매우 의미 있는 자료가 되어 줄 것이다.

    

   


지은이.png

최인학

동경교육대학대학원 문학연구과 박사과정 수료(문학박사).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비교민속학회 평의회 의장.

 

저서: “설화문학론”, “구전설화론”, “한국민담의 유형 연구”, “옛날이야기꾸러미”(5, 공저)

편역서: “조선동화대집”(심의린 저), “조선설화집”(손진태 저), “1923년 조선설화집등 아동문학 창작집 다수

 

김민지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석사과정 수료(언어학석사).

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언어학박사).

 

논문: ‘한일 양국어의 요구표현 대조 연구’, ‘일본 기업 홈페이지 공지문에 관한 고찰-사죄문의 표현을 중심으로-’

 

 


차례.png

책머리에

 

1장 혼례

점점 늘어가는 내지인(일본인)과 조선인의 배우자_ “조선편집부

조선의 결혼 및 이혼의 추세_ 젠쇼 에이스케(善生永助)

조선의 결혼에 관한 관습_ 이능화(李能和

조선의 왕가 및 서민의 혼제(婚制)_ 이능화(李能和)

 

2장 상례와 제례

조선의 묘지 문제_ 니시키 산케이(西龜三圭)

내선 공통되는 제사에 대하여_ 호시노 데루오키(星野輝興)

유교 이전의 조상숭배_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붙임 자료-원문 영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인문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고마움_우학모 글모음 두 번째 file

  • anonymous
  • 2014-07-21
  • 조회 수 870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고마움 지은이: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 분야:인문학, 언어학 발행일:2009년 2월 28일 ISBN 978-89-960140-7-2 93800 신국판(152mm×223mm), 반양장, 432면, 19,800원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고마움(채륜, 2009)은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20...

인문 하이데거의 존재물음에 대한 강의 _사이의 사무침 02 file

  • anonymous
  • 2014-07-21
  • 조회 수 945

도서분류 인문 / 철학 총 서 명 사이의 사무침 02 도 서 명 하이데거의 존재물음에 대한 강의 지 은 이 구연상 정 가 13,000원 발 행 일 2011년 10월 1일 상세정보 반양장, 236쪽, 국판(148mm×210mm) I S B N 978-89-93799-50-7 93160 우리말로 풀어쓰는 하이...

인문 철학은 슬기 맑힘이다_사이의 사무침 01 file

  • anonymous
  • 2014-07-21
  • 조회 수 584

도서명: 철학은 슬기 맑힘이다 지은이:구연상 분야:철학 발행일:2009년 3월 10일 ISBN 978-89-960140-6-5 93100 국판(148mm×210mm), 반양장, 312면, 12,000원 “철학은 저마다에겐 보다 나은 삶을 스스로에겐 두루 살필 줄 아는 마음을 시원스레 밝혀 주는 슬...

인문 한중 고전소설 연구자료의 새 지평 file

  • anonymous
  • 2014-07-21
  • 조회 수 1058

도서명: 한중 고전소설 연구자료의 새지평 지은이: 『한중 고전소설 인명․지명 대사전』편찬 연구팀 분야: 고전문학 발행일: 2008년 12월 30일 ISBN 978-89-960140-5-8 93800 신국판(152mm×223mm), 반양장, 371면, 21,000원 이 책은 자료적 가치가 높은 고전...

인문 세계 과학소설사 file

  • anonymous
  • 2014-07-21
  • 조회 수 739

도서명: 세계과학소설사 저자: 고장원 분야:문학사 발행일:2008년 10월 10일 페이지: 408면 ISBN: 978-89-960140-3-4 93800 판형: 신국판(152mm×223mm) 반양장 값: 14,800원 문학사의 한 단계 도약을 위한 채륜출판의 장르문학사 정립 프로젝트! 무협소설사, ...

인문 한국 무협소설사 file

  • anonymous
  • 2014-07-21
  • 조회 수 1561

 도서명 한국무협소설사 저자 이진원 저자 연락처:010-9187-8119 분야:한국문학이론 > 한국문학론, 문학이론 > 문학사/문예사조 발행일:2008년 2월 20일 ISBN 978-89-960140-0-3 03810 크라운변형판(160mm×220mm) 반양장, 456면, 18,800원 “오래된 서고에 ...

역사/문화 조선총독부 기관지 『조선』 소재 혼례와 상제례 file

  • anonymous
  • 2014-07-21
  • 조회 수 588

도서분류 역사·문화 / 민속학 / 근대사 도 서 명 혼례와 상제례 부 제 명 조선총독부 기관지 『조선』 소재 엮 은 이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옮 긴 이 최인학, 김민지 출 판 사 채륜 정 가 17,000원 발 행 일 2013년 08월 30일 상세정보 반양장, 237쪽, 신...

역사/문화 강릉의 동족마을_강릉문화원 연구총서 1 file

  • anonymous
  • 2014-07-21
  • 조회 수 535

도서분류 역사, 문화 / 민속학 / 지방, 향토 총 서 명 강릉문화원 연구총서 1 도 서 명 강릉의 동족마을 기 획 강릉문화원 출 판 사 채륜 정 가 50,000원 발 행 일 2013년 08월 30일 상세정보 반양장, 636쪽, 크라운판 변형(165m/m×235m/m) I S B N 978-89-93...

&CHROMELESS WINDOWS LAUN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