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로학문하기날갯짓_표지이미지.jpg





시리즈명 우학모 글모음 네 번째

도 서 명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날갯짓

지 은 이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

정 가 14,000

발 행 일 2011819

상세정보 반양장, 270, 신국판(152mm×223mm)

I S B N 978-89-93799-41-5 93800

 


 

책소개.png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의 네 번째 글 모음

 

이 책은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우학모)의 네 번째 문집으로, 우학모가 지난 한 해(2010) 동안 벌여 온 말 나눔 잔치에서 발표했던 글들을 모아 엮은 것이다.

그동안 우학모에서 낸 책으로는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사무침”(2008, 푸른역사),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고마움”(2009, 채륜),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용틀임”(2010, 채륜)이 있다.

 



출판사서평.png

한국말이 처한 현재의 위기와 과거의 풍요로움, 그리고 미래의 가능성에 대한 여러 생각을 모은 문집

    

이 책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날갯짓의 이야깃거리(주제)는 한국말이 갖는 생산성이다. 말은 세상의 의미와 생각의 흐름 그리고 사람의 경험을 갈무리하고, 가지런히 질서를 부여하며, 창작의 밑거름이 된다. 말은 세상을 바라보는 창문(窓門)을 넘어, 세상을 설계하고 보수하고 꾸미는 건축(建築)이다. 그렇기에 말이 가난하면, 세계도 가난하고, 말이 아름다우면, 세계도 살맛나게 되는 것이다. 말은 역사를 기록하고, 현재를 평가하며, 미래를 우리의 눈과 귀 앞으로 앞당겨 들인다. 이 글뭇은 한국말이 처한 현재의 위기와 과거의 풍요로움 그리고 미래의 가능성에 대한 여러 생각을 한데 모은 것이다.

 

말이 가난하면 세계도 가난하고, 말이 아름다우면 세계도 살맛나게 된다

 

먼저, 여는 글에서 최 봉영은 한국말이 이 세상과 생각을 빚어내는 오묘한 방식을 알기 쉽게 갈무리해 주고 있고, 특히 한국말이 어떤 것의 상태를 꼴, , , , , , 소리 등으로 잘게 나누어 매우 촘촘히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을 진솔하게 보여 주고 있다.

첫째 벼리에는 한국말이 처한 위기를 알리는 글들을 모았다.

유 재원은 한국말글이 학문의 자리에서 추방당하고 있는 현실을 꼬집고 있다. 말글은 학문의 필수품이다. 말글 없이는 학문이 불가능하다. 한국말이 한국 학자들의 학문적 결과물을 담는 그릇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한국의 대학에서 학문을 이어갈 전통이 되지 못한다면, 한국말은 학문에는 쓸데가 전혀 없는 머슴의 말로 굴러 떨어지고 만다. 유재원은 이러한 사태가 불러올 파장이 무엇인지를 짧은 글로 잘 말해 주고 있다.

김 정수는 국어학자로서 한국말을 새롭게 되살릴 수 있는 여러 방안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 글에는 훈민정음이 갖추고 있었던 조직적인 생성과 무한한 변형, 초정밀한 표현 능력을 되살려야 한다는 주장으로부터 오르-내리다, -가다, -보다, -살다, -푸르다, -푸르다와 같은 새 말 만들기의 힘을 길러야 하며, 국어 교육과 국어학을 바로 세워야 한다는 외침까지 뜨거운 울림이 가득하다.

성 낙수는 학교 문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품사 이름이 결정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밝혀 주고 있다. 이 글에서 성 낙수는 1963년 당시에 진행되었던 전문 위원회 회의 내용과 표결 과정을 자료 고증을 거쳐 확인해 가면서 올바른 문법 역사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둘째 벼리에서는 말이 세상을 억압하는 사태를 그려 주고, 과거와 현재에서 말이 가져다주는 소통의 시원함을 맛보게 해 준다.

이 부영은 열린우리당 의장을 지낸 정치인이자 전직 동아일보 기자로서 정치 영역에서 말로써 이루어진 교묘한 억압 실태를 체험을 바탕으로 고백해 주고 있다.

정 현기는 깜짝 놀랄 물음을 던진다. 왕이란 도대체 어떤 사람이기에 왕국의 절반을 뚝 떼어 줄 수 있는가? 그리고 우리는 왜 이러한 폭력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들려주는가? 그는 왕을 남들 위에 올라선 폭력배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우리는 민화나 동화를 통해 왕과 그의 가족을 신성시하거나 우상시한다. 이것은 우리가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말부터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을 잘 말해 준다.

김 융희는 서사무가 바리데기 노래에 깃든 삶의 아름다움을 말해 주고, 이 은주는 삶과 죽음의 아름다움을 우리말 아름다움으로부터 해석해 낸다. 김 형태는 일본에 간 통신사들을 따라갔던 조선의 의원들이 일본 의원들과 글로써 나눴던 이야기를 소개해 주고 있다.

 



책속으로.png

참소통은 그 나랏사람의 삶과 역사를 담은 말과 글이 있을 때만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것도 모든 사람이 쉽게 배우고 실생활에서 쓸 수 있는 글이 만들어질 때 계급 사이의 참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욱이 글이 모든 말을 쉽게 표현할 수 있을 때만이 나랏사람들 사이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말을 담을 수 없는 글, 자기의 생각을 손쉽게 드러낼 수 없는 말은 소통을 막고 나랏사람들 사이의 갈등과 대립을 불러오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나랏사람들의 삶과 생각을 담아내고 풀어낼 수 있는 쉬운 말과 글은 소통의 물줄기가 되는 것이다.

/82

 

우리가 세계를 온통 그것으로 만들어버릴 때 나를 제외한 내 바깥의 세계는 모두 버려진 세계가 된다. 이편의 세계가 아니라 저편의 세계가 온통 죽은 세계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오늘날의 저쪽 세계는 비단 귀신과 신령의 세계뿐만이 아니다. 마음의 경계, 제도의 경계, 개념의 경계에 갇혀 알지 못하고 바라보지 못하는 세계는 모두 저쪽 세계이다. 일종의 저승인 셈이다. 그러나 세계를 그것으로 바라보기만 했던 오구대왕이 불치의 병에 걸리는 것처럼 그것으로만 보는 자는 스스로는 절대로 치유할 수 없는 병을 앓게 되어 있다. 그 병을 낫게 하는 것은 그가 버린 아이가 버려진 세계에서 가져온 물과 꽃이다.

/207

 


 

지은이.png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

최 봉영 한국항공대학교 교수(한국학), 우학모 회장

유 재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언어학)

김 정수 한양대학교 교수(국어학)

성 낙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수(국어학)

신 운용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사학)

구 연상 숙명여자대학교 교수(철학), 우학모 총무

이 부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정 현기 문학평론가/시인, 전 우학모 회장

김 융희 서울예술대학교 교수(철학)

이 은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철학)

김 형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교수(문학)

 


 

차례.png

책머리에

 

우리말의 힘과 생산성_ 최 봉영

1. 논의에 들어가며

2. 한국사람과 한국말

3. 한국말의 힘

4. 한국말의 생산성

 

첫째 벼리: 한국말의 위기와 대응

 

한국어가 아무 소리 없이 학문어의 자리에서 사라져가고 있다_ 유 재원

 

한국말을 살리는 길_ 김 정수

1. 훈민정음 살리기

2. 말소리 바로 알기

3. 낱말 맨드리 되살리기

4. 표준말 규정 버리기

5. 국어 교육 바루기

6. 국어학 세우기

 

학교 문법 품사 이름 및 용어 통합의 과정과 현재의 문제점_ 성 낙수

1. 머리말

2. ‘학교 문법의 품사 이름과 문법 용어 통합의 과정

3. 맺는말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한국말의 개념 문제_ 신 운용

1. 들어가는 말

2. 말과 글 그리고 사람과 소통

3. 하늘과 백성 그리고 정치

4. 나오는 말

 

요약(要約)은 줄이기이다_ 구 연상

1. 요약의 뜻

2. 글줄이기의 목적과 방법

3. 글줄이기의 갈래

4. 끝맺기

 

둘째 벼리: 막힘과 뚫림

 

오염된 말, 염색된 글_ 이 부영

1. 머리말

2. 5.16군사쿠데타 이후

3. 70년대 유신시대의 말과 글

4. 1980년대 -광주학살과 87년의 6월 항쟁

5. 19876월 항쟁 이후 현재까지

6. 맺는말

 

갇힘과 가둠에 대하여, -민화집 속에 들어 있는 왕권과 백성 얘기_ 정 현기

1. 모든 나날 속에 갇힌 우리 얘기

2. 마음속의 왕과 왕비 그리고 왕자와 공주

3. 왕과 권력

4. 맺는말

 

바리데기 노래를 따라서 -모심과 섬김의 노래_ 김 융희

1. 바리데기 노래풀이

2. 버려진 아이

3. 길 떠남

4. 물과 꽃

5. 섬김과 모심을 배우며

 

아름-다운 삶(well Being)과 아름-다운 죽음(well Dying)_ 이 은주

1. 길을 나서며

2. 하이데거에서 존재의 문제

3. -살이()와 아름-다움

4. 하이데거의 죽음 분석과 아름-다운 죽음

5. 아직도 길 위에서

 

필담(筆談)을 통한 조일의원(朝日醫員) 간 소통의 방식 -1764년 계미사행(癸未使行)의 필담을 중심으로_ 김 형태

1. 머리말

2. 서지(書誌)사항

3. 미지(未知)와의 조우(遭遇)

4. 대립과 갈등

5. 교류와 협력

6. 맺음말

 

저자소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인문 존재는 생명의 강물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1011

도서분류 철학에세이 / 한국철학자 도 서 명 존재는 생명의 강물 부 제 명 이기상 교수의 정년, 새로운 해오름을 기리며 엮 은 이 이기상 교수 정년 기념 출판위원회 출 판 사 채륜 정 가 26,000원 발 행 일 2012년 04월 28일 상세정보 양장, 260쪽, 크라운판...

인문 글쓰기와 표현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1291

도서분류 글쓰기/대학교재 도 서 명 글쓰기와 표현 기 획 강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지 은 이 정은임, 박영섭, 홍순석, 김동언, 김명희, 김행숙, 간호배, 임영선, 오새내 정 가 15,000원 발 행 일 2012년 02월 28일 상세정보 반양장, 268쪽, 4×6배판(188mm×257...

인문 내훈_국어문헌자료총서 3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916

도서분류 국어학 시리즈명 국립국어원 국어문헌자료총서 3 도 서 명 내훈 지 은 이 이선영, 이승희 정 가 18,000원 발 행 일 2011년 11월 30일 상세정보 양장, 325쪽, 신국판(153mm×225mm) I S B N 978-89-93799-47-7 93710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성 훈육서 ...

인문 구황촬요_국어문헌자료총서 2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672

도서분류 국어학 시리즈명 국립국어원 국어문헌자료총서 2 도 서 명 구황촬요 지 은 이 서종학 정 가 17,000원 발 행 일 2011년 11월 30일 상세정보 양장, 308쪽, 신국판(153mm×225mm) I S B N 978-89-93799-46-0 93710 질병과 기아를 극복한 지혜를 담은 조...

인문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날갯짓 _우학모 글모음 네번째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574

시리즈명 우학모 글모음 네 번째 도 서 명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날갯짓 지 은 이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 정 가 14,000원 발 행 일 2011년 8월 19일 상세정보 반양장, 270쪽, 신국판(152mm×223mm) I S B N 978-89-93799-41-5 93800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

인문 정현기 비평 선집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2246

도서분류 한국문학비평 도서명 정현기 비평 선집 부제명 1978~2011 지은이 정현기 엮은이 비평선집간행위원회 출판사 채륜 정가 40,000원 발행일 2011년 07월 12일 상세정보 양장 // 587쪽 // 신국판(153mm x 225mm) I S B N 978-89-93799-40-8 93800 문학 비...

인문 국어와 국어학 2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605

도 서 명 국어와 국어학 2 지 은 이 성낙수 정 가 21,000원 발 행 일 2011년 8월 10일 상세정보 양장, 312쪽, 신국판(153mm×225mm) I S B N 978-89-93799-38-5 94710 “국어와 국어학” 제2권. 이 책에서는 1권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글들을 실었다. 청소년들의...

인문 국어와 국어학 1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744

도서분류 국어학 도서명 국어와 국어학 1 지은이 성낙수 출판사 채륜 정가 21,000원 발행일 2011년 03월 30일 상세정보 양장 // 280쪽 // 신국판(153mm x 225mm) I S B N 978-89-93799-37-8 94710 "언어는 사회적인 약속물이며, 사회를 반영하고, 사회를 발전...

&CHROMELESS WINDOWS LAUN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