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농장의 하루

by anonymous posted Jul 22,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커피농장의하루_표지.jpg




도서분류 에세이

도 서 명 커피 농장의 하루

부 제 명 커피, 플로리스트를 만나다

지 은 이 윤 야미니

출 판 사 채륜서

정 가 11,000

발 행 일 20111030

상세정보 반양장, 184, 신국판(152mm×200mm)

I S B N 978-89-967201-0-2 03800

 


 

씨를 뿌린 아침에서 열매를 맺은 저녁까지,

커피콩을 만나기 위한 긴 하루가 시작된다

   


책소개.png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원두의 원래 모습은 빨간 열매다. 이제까지 커피콩을 커피 음료로 만드는 법은 많이 다뤄졌지만, 그 이전 단계인 커피나무의 성장과정을 그린 경우는 드물었다. 이 책은 커피콩이 만들어지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담고 있다. 커피나무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커피 농장의 이야기를 생생한 포토 에세이로 만날 수 있다. 특히, 저자가 필리핀에서 10년간 커피 농장을 운영하며 남긴 사진들과 현지 에피소드들이 독자의 눈과 귀를 사로잡는다. 또한 커피 열매를 생두로 정제하는 모습을 상세히 다루고 있어, 궁금했던 이들에게 좋은 정보가 될 것이다.

 



출판사서평.png

우리가 보던 커피는 어디서부터 만들어진 것일까?

커피를 사랑한 플로리스트가 들려주는 커피 농장 이야기

많은 이들이 커피를 마시며 하루를 시작한다. 카페에 들어서면 은은하게 묻어나는 원두의 향은 최고의 피로회복제다. 그렇게 매일같이 커피를 접하며 살아가지만, 정작 커피콩이 어떻게 만들어지느냐고 물으면 고개를 갸웃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커피가 열대작물이기에 우리나라에서는 쉽게 커피나무를 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커피가 좋아 필리핀까지 건너 간 여인은 이제 커피 농장의 주인이 되었다. 무작정 터를 잡고 씨를 뿌린 타지에서, 원주민들은 친구가 되었고 커피는 인생이 되었다. 그러나 결코 쉽고 즐겁기만 한 일은 아니었다. 처음 커피나무를 심고 열매가 나길 기다리는 데만 5. 주위의 우려 섞인 시선과 인고의 시간은 견디기 힘든 나날이었을 것이다. 첫 커피 열매를 수확하면서 흘린 기쁨의 눈물은, 그녀의 인생에서 커피를 빼놓을 수 없게 만들어 놓았다. 커피나무와 울고 웃었던 그간의 시간들이 책 속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지금까지 커피콩을 이용해 커피 음료로 만드는 방법을 쓴 책은 많았지만, 이 책은 그 이전 단계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플로리스트 출신의 저자가 10년간 필리핀에서 커피 농장을 운영하며 직접 부딪힌 경험들이 가득 담겨 있기에 그 소장가치는 더욱 클 것이다. 그동안 농장을 운영하며 겪은 에피소드와 유용한 정보들, 더불어 필리핀 현지인들의 농장 생활 모습도 함께 엿볼 수 있다.

    

좀처럼 만날 수 없었던 야생 커피나무의 존재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어 희소성을 한층 높여준다. 식물의 성장과 소멸은 언제나 신비롭지만,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없었던 커피 열매의 성장기는 무엇보다도 값질 것이다. 예쁜 커피 꽃과 알록달록한 열매의 손짓에 이끌려 당장에라도 여행을 떠나고 싶어질지도 모른다. 하얀 커피 꽃의 향과 가지마다 빼곡히 자란 열매, 그 열매 끝에 맺힌 이슬. 어느 하나도 경이롭지 않은 것이 없다.

 

지금 아름다운 커피 농장의 풍경이 당신 앞에 펼쳐져 있다.

 



책속으로.png

필리핀에는 130종 정도의 박쥐가 살고 있다. 그중 밤색의 과일박쥐는 커피 열매를 무척 좋아한다. 그러나 과일박쥐는 소화기관이 짧고 가느다랗기 때문에 커피콩을 삼킬 수 없다. 그래서 커피 열매의 과육만 먹고 껍질과 콩은 뱉어 버린다.

-p.90 ‘정글 속으로

 

매년 우리 농장에 들어와 생두 교육을 받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이런 말을 한다.

생두 이전, 열매에서 생두가 되기까지의 과정이 궁금했어요.”

예전 내 기분도 그랬다. 그들에게 동료의식을 느꼈다. 수확기에 잠깐 생두 교육을 받았다고 생두에 대한 것을 모두 알 수 있을 리가 없지만 열매를 직접 따서 정제과정을 경험해 보면, 내가 그랬듯이 많은 궁금증이 풀릴 것이다.

-p.134 ‘커피콩 연구

    

 

지은이.png

윤 야미니 (Mrs. Yoon, Yamini)

 

필리핀 현지 커피 농장 10년간 경영

AFDU(아시아플라워디자이너연맹) 창립 멤버

 



차례.png

들어가기 전에 (Introduction)

프롤로그 (Prologue)

 

-커피 꽃 (Coffee Flowers)

-커피 열매 (Coffee Cherries)

-정글 속으로 (Into the Coffee Forest)

-커피 농장 (My Coffee Farm)

-커피 콩 연구 (Research of Coffee Beans)

-커피 마시기 (Drinking a Cup of Coffee)

 

필리핀으로부터 헌사 (Dedications from the Philippines)


&CHROMELESS WINDOWS LAUN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