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분류 예술 / 음악 / 국악 / 국악이야기
도 서 명 정철호 아쟁산조 작곡집(붙임자료 ‘정철호 작곡 아쟁산조·기타 걸작집’ 오디오 CD)
기 획 (사)청강 정철호 전통예술진흥회
엮고지은이 (사)청강 정철호 전통예술진흥회·국악음반박물관(대표집필자: 노재명)
출 판 사 채륜
정 가 32,000원
발 행 일 2018년 9월 30일
상세정보 반양장, 282쪽, 신국판(152mm×225mm), 책등 높이 15mm
I S B N 979-11-86096-85-7 93670
국악계 최고령 인간문화재 정철호 명인
그의 아쟁산조 작곡 모음집
현존하는 국악계 최고령 인간문화재 청강 정철호가 작곡한 아쟁산조 관련 자료를 모았다.
정철호는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고법 예능보유자로 판소리 명창이자 아쟁 명인이기도 하여 국악계의 팔방미인이라는 별호가 붙는다. 많은 재주가 있지만 특히 주목할 것은 민속음악 작곡가라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동안 정철호 명인의 작품과 활동 역사 그리고 수많은 작곡 업적들이 잘 조명되지 못했었다. 그러다 이번에 드디어 정철호 명인의 국악 작품들이 이 책을 통해 올바르게 집대성되었다.
책에는 정철호 명인이 방송에 출연하여 나누었던 대담 내용과 함께 그가 작곡한 아쟁산조의 특징이 정리되어 있으므로 살아 있는 국악의 역사를 공부할 수 있다. 더불어 아쟁산조 악보와 그가 작곡한 신민요 대표작 가사가 수록되어 있고, 부록으로 ‘정철호 작곡 아쟁산조·기타 걸작집’ 오디오 CD까지 제공하고 있어 정철호 명인의 작품을 생생하게 느껴볼 수 있다.
정철호 명인의 생애와 작품세계
정철호 명인은 전라남도 해남에서 태어나 7세부터 부친에게 소리를 배우기 시작했다. 임방울 문하에서 판소리 적벽가와 춘향가, 정응민 문하에서 판소리 적벽가 〈삼고초려〉, 김재선 문하에서 판소리 고법, 한갑득 문하에서 거문고를 사사했다.
그 후 1996년 국가 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고법 예능보유자로 인정받았다.
다양한 작품 활동 및 공연, 협회 활동으로 민속음악의 명맥을 유지하고 길을 넓혀 왔으며, 수많은 표창장이 그의 업적을 뒷받침해준다. 그야말로 국악계에 큰 획을 그은 거장이다.
이 책에는 이런 정철호 명인이 지금까지 걸어온 길과 국악세계가 정리되어 있다. 다양한 작품 목록과 관련 이미지 자료도 빼놓지 않고 담아내었으며, 명인의 작품이 담긴 음반 목록을 정리하고 작곡한 아쟁산조 악보까지 수록되어 있다.
그간 정철호 명인의 작품과 활동 역사 및 업적이 제대로 정리되지 못했으나 (사)청강 정철호 전통예술진흥회의 양타연 이사장, 국악음반박물관의 노재명 관장 등 많은 분들이 함께 소중한 자료를 정리하고 노력을 기울인 덕에 정철호 명인의 국악 전집과 음반이 제작될 수 있었다.
정통국악 가문 출신 원로 국악인의 창작곡들이 한데 총정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통해 신작국악계에 활력이 되길 바라며 정철호 명인의 천재적인 예술성이 앞으로 더욱 조명되고 많이 연구되고 그 주옥같은 명곡들이 더 활발하게 공연되고 널리 퍼지길 기원한다.
정철호 명인이 작곡한 아쟁산조와 그 외 걸작들
생생한 소리로 감상하다
판소리 고법 예능보유자, 판소리 명창, 아쟁 명인인 정철호는 국악계의 팔방미인이라는 별호가 붙을 만큼 다양한 재주가 있지만 특히 주목할 것은 민속음악 작곡가라는 사실이다. 20세기 국악계에서 민속음악 작곡가로서의 존재감은 실로 컸고 지금은 중대함이 커져 국보급 민속음악 작곡가의 위치에 있다.
그는 민속아쟁을 직접 만들고 작곡하여 이 민속아쟁으로 산조를 연주하고 제자들을 양성하였다. 이리하여 정철호 명인이 창안한 민속아쟁은 근현대에 새로 만들어진 국악기 가운데 예술적으로나 대중적으로, 활용도 면에서 국악계 진입에 가장 성공한 악기가 되었다. 정철호 명인이 고안한 민속아쟁은 판소리의 애원성 같이 애절한 음색이 어떤 국악기보다 강렬하다. 한 줄에서도 여러 소리가 나오며 활과 농현을 통해서 여음을 길게 지속할 수 있고 감정 표현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민속아쟁이 근래 많은 연주자들에 의해 구슬픈 성음에 치우쳐 연주되기도 하는데 정철호 명인은 한때 불우한 성장기를 보냈고 한 서린 시기를 지나온 적이 있음에도 요즘 연주자들보다 우조의 호방한 가락을 많이 넣고 계면조를 연주하더라도 지나치게 애수띤 가락에만 국한되지 않고 꿋꿋하고 담백하며 의연한 성음들을 상당히 가미해서 연주하는 특징이 있다. 힘이 넘치는 기상, 기개, 기백이 강하게 느껴진다.
이런 특징을 독자가 직접 느낄 수 있도록 이 책에서는 정철호 명인이 작곡한 아쟁산조와 기타 걸작들을 모아 만든 CD를 부록으로 제공한다. 이로써 ‘국보급 민속음악 작곡가’인 정철호 명인의 작품을 생생하게 감상할 수 있다. 아주 희귀한 곡들이므로 자료의 부족으로 연구에 어려움이 있던 후학들의 갈증을 해소할 단비같은 자료가 되리라 생각한다.
엮고지은이
(사)청강 정철호 전통예술진흥회·국악음반박물관
대표집필자: 노재명
국악음반박물관 관장, 한국고음반연구회 대표. 지영희국악관·우리소리도서관 설립 자문·자료 제공. 조지아에 국악음반박물관 부설 세계민속음악연구소를, 서울 용답동에 세계민속음악도서관을 설립하였다.
중고제 공연, 국악 고음반 전시회, 국악 유성기음반 복원 연주회, 판소리 3명창 특별공연, 귀명창대회, 적벽가 연속 감상회, 판소리 명창의 발자취를 찾아서, 소리MC 선발대회, 100개의 별 전주에 뜨다(명인명창 전주에 모이다) 행사, 한국 방짜 국악기 전시회, 한국-실크로드 국제 아리랑 축제, 지영희 특별전, 중고제 충청소리제, 지영희와 무용음악, 세종국제실크로드음악제 등을 기획 연출하였다. 국악 음반과 서적 총 400여 종을 기획 제작하였다.
서울여자대학교 국악 초빙교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전통예술위원, 나라음악큰잔치 기획위원, 전주세계소리축제 프로그래머, 충남문화재단 예술감독을 역임하였고 KBS, 국악방송 MC로 20여 년간 활동하였으며 대한민국국악제 예술감독, 문화체육관광부·국립한글박물관 평가위원, 인천서구문화재단 운영위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국악과 함께 33년째 한국대중음악, 실크로드 음악에 대한 연구 작업도 해오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판소리 명창 이선유의 음반에 관한 연구”(1991년) 등 30여 편과 주요 저서로 『판소리 음반 걸작선』(1997년) 등 46권이 있다.
채보자: 안지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음악과에서 예술전문사로 졸업,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에서 음악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강사를 지내고 락음국악단에서 객원 편곡자로 참여하기도 했으며 소리집단 ‘절대가인’의 음악감독,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강사를 역임했다.
‘듣고 싶은 우리 음악 제2집’ ‘원장현의 대금소리’ ‘K’Arts Joy Ensemble <Go On>’ ‘절대歌인 중 “좋을 호로다”’ 등 음반에 반주, 작곡 및 편곡자로 참여한 적이 있으며 우리 소리의 채보 활동에도 적극적이어서 다양한 책에 수록되고 있다,
사보자: 김재향
경기예술고등학교를 나와(피아노 전공), 한양대학교 국악과를 졸업하였다. 이곳에서 국악 작곡을 배우고 작곡과 다중 전공을 통해 학문의 길을 넓혔다. 중등학교 정교사 2급(음악) 자격증도 보유 중이다.
축하하는 말 | 존경하는 최고의 국악 작곡가 정철호 선생님 (글_이생강)
1장 정철호 명인 대담 방송 내용 (채록·정리_노재명)
2장 정철호 명인 작곡·연주 아쟁산조 특징 (글_노재명)
3장 사진·자료로 보는 정철호 명인(자료소장_청강 정철호 전통예술진흥회·국악음반박물관, 글_노재명)
4장 정철호 명인이 활동한 국악로 지도 (현장조사·기록_노재명)
5장 정철호 작곡 아쟁산조 악보(작곡·아쟁_정철호, 채보_안지영, 사보_김재향)
6장 정철호 작곡 신민요 대표작 가사 (정리_청강 정철호 전통예술진흥회)
1. 국악의 노래(하나 되는 강산이여)(작곡: 정철호)
2. 시집 가는 날(작곡: 정철호, 소리: 전남도립국악단)
3. 유달산 옛정(작곡: 정철호, 작사: 백포, 소리: 안숙선)
4. 통일의 염원(작곡: 정철호, 소리: 국립창극단원)
5. 푸른 풀이(벽계수 황진이 사랑)(작곡: 정철호, 소리: 안숙선·김차경)
7장 정철호 명인 주요 약력·작곡 목록
붙임자료 ‘정철호 작곡 아쟁산조·기타 걸작집’ 음반 수록곡
(사)청강 정철호 전통예술진흥회 기획 - 정철호 작곡 아쟁산조·기타 걸작집
1980년대~2018년 녹음, (사)청강 정철호 전통예술진흥회·국악음반박물관 제공 음원.
1. 아쟁산조(작곡·아쟁: 정철호, 장고: 신평일)
2. 아쟁살풀이(아쟁: 정철호, 장고: 정원식)
3. 시나위합주(장고: 정철호, 대금:이생강, 거문고: 박주희, 아쟁: 서정호)
4. 구음(소리: 정철호·김수연·전정민, 장고: 정철호, 대금·소금: 이생강, 거문고: 박주희, 아쟁: 서정호)
5. 창무악 ‘춘하추동’ 〈봄의 합창〉(작곡: 정철호, 전남도립국악단)
6. 창무악 ‘춘하추동’ 〈불이 탄다〉(작곡: 정철호, 전남도립국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