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분류 문학/ 한국문학론/ 한국작가론
총 서 명 어촌 심언광 연구총서 04
도 서 명 어촌 심언광의 삶과 문학
기 획 강릉문화원
지 은 이 구도영, 박도식, 박영주, 박종우, 신익철, 이규대
출 판 사 채륜
정 가 18,000원
발 행 일 2018년 5월 20일
상세정보 반양장, 238쪽, 국판(148mm×210mm), 책등 높이 13mm
I S B N 979-11-86096-70-3 93800
16세기 전반 한국문학사를 대표하는 어촌 심언광
그의 삶과 문학세계를 살피다
강릉문화원이 기획한 어촌 심언광 연구총서 네 번째 책이다.
어촌 심언광은 16세기 전반 한국문학사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 850여 수에 이르는 주옥같은 시를 남겼음에도 제대로 된 평가는커녕, 연구 성과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 안타까움을 느낀 강릉문화원이 어촌을 제대로 알리고자 관련 연구 결과물을 모은 ‘어촌 심언광 연구총서’를 기획하게 된 것이다.
이 책은 어촌의 문학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더불어 그의 삶을 당대의 역사적 사건들과 정치 상황에 맞추어 역동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어촌이란 인물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어촌 심언광이라는 개인의 삶과 문학세계는 물론, 16세기 전반 우리 문학사의 새로운 면면을 발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역사 속에 깊이 잠든 어촌을 다시 깨우다
어촌 심언광은 강릉 출신으로 조선 중기 최고의 시인이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어촌에 대해 ‘사람됨이 질박하고 솔직하며 시문에 능한’ 인물이라고 적혀 있다. 또한 같은 강릉 출신이자 우리가 잘 아는 허균은 어촌의 시를 평가하며 ‘웅혼하고 도타우며 화려하고 아름답다’고 하며 중종대에 최고의 문인으로 알려진 정사룡보다 더욱 뛰어나다고 매우 극찬한 기록도 전해진다. 이처럼 16세기 전반 한국문학사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 850여 수에 이르는 주옥같은 시를 남겼음에도, 심언광의 생애와 작품은 오랜 세월에 걸쳐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다. 그의 소신과 정치적 행적이 당대의 정치 상황과 충돌하면서 불우한 말년을 보내게 되었고 사후 신원이 늦어진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이에 강릉문화원은 역사 속 깊이 잠들어 있던 어촌을 깨워, 그의 수많은 작품을 소개하고 삶과 사상을 연구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 책은 그런 작업의 일환으로, 어촌 심언광 전국학술세미나를 개최하고 여기서 나온 연구 성과를 모은 것이다.
다각도적인 어촌 연구
역사적 인물과 우리 문학사의 한 시대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이 책은 네 번째 나오는 어촌 심언광 연구총서로 어촌의 문학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개인의 삶을 당대의 역사적 사건들과 정치 상황에 맞추어 역동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어촌이란 인물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첫 번째 장은 ‘어촌 심언광의 삶’으로 어촌의 인생 역정을 살펴보았고 두 번째 장은 ‘어촌 심언광의 문학’으로 그의 작품세계를 통해 섬세한 내면세계와 감성의 흐름을 느낄 수 있는 글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어촌 선생의 유훈과 유적’에서는 어촌과 관련된 짤막한 일화를 흥미롭게 풀어내어 재미를 더했다.
이처럼 한 인물을 다각도로 살핌으로써, 역사 깊은 곳에 잠들어 있던 어촌 심언광을 다시 만날 수 있게 한다. 그에 대한 연구는 이제 걸음마 단계이지만, 이 책이 초석이 되어 어촌 심언광이라는 역사적 인물의 삶과 문학세계는 물론, 16세기 전반 우리 문학사의 새로운 면면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기획
강릉문화원
필자 소개
구도영(덕성여자대학교 연구교수)
박도식(강릉문화원 부설 평생교육원 주임교수)
박영주(강릉원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박종우(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신익철(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이규대(강릉원주대학교 사학과 교수)
발간사
1부 어촌 심언광의 삶
01 어촌 심언광의 삶과 생각_박도식
02 심언광에 대한 역사적 평가(부제: 정치인생의 역정과 순회)_구도영
03 내가 만난 강릉의 명사 어촌 심언광_이규대
2부 어촌 심언광의 문학
01 어촌 심언광 문학세계 개관_박영주
02 어촌 심언광 시의 문집별 특징_신익철
03 어촌 심언광 시가 지닌 맛과 멋_박종우
04 어촌 심언광 시의 역사적 평가_박영주
3부 어촌 선생의 유훈과 유적
01 어촌 선생 시대에 강릉에만 있었던 ‘청춘경로회’_신익철
02 어촌 선생이 살았던 ‘해운정’은 어떤 곳인가?_박도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