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분류 문학/ 문학일반
총 서 명 어촌 심언광 연구총서 02
도 서 명 어촌 심언광의 문학과 사상
기 획 강릉문화원
출 판 사 채륜
정 가 25,000원
발 행 일 2014년 12월 30일
상세정보 반양장, 331쪽, 신국판 (153m/m×225m/m), 높이(19.5mm)
I S B N 979-11-86096-03-1 93800
어촌 심언광의 웅혼하고 도타우며 화려하고 아름다운 빛이 발할 시간
정치역적 중 김안로를 천거한 부분이 문제가 되어 관직을 삭탈당하고 낙향한 채 생을 마감하여 신원하기까지 144년이나 걸린 이가 있다. 문학작품을 알 수 있는 문집조차 늦게 발간되면서 제대로 된 평가 하나 조차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는 바로 16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당대 최고의 시인이라는 수식어가 아깝지 않은 어촌 심언광이다. 이를 안타깝게 여기고 지난 2006년부터 본격적인 어촌 연구를 시작한 강릉문화원이 이번에는 어촌 심언광의 문학세계와 생애, 사상까지 다루고 있는 11편의 논문을 한 권의 책에 담았다. 명나라 사신들을 감탄시킨 솜씨와 어촌만의 독특한 자연인식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그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활발해지기를 기대해본다.
16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당대 최고의 시인, 어촌 심언광
한 인물을 제대로 탐구하기 위해서는 당대의 문학 상황과 연관시켜 보아야 한다. 전체 흐름 속에서 어떤 입지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점에서 다루어질 때 올바른 평가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조선시대 관료들은 대부분 훌륭한 문인이었고 그 가운데에는 적절한 고사나 전거를 활용한 예들도 있지만, 자연물 심상과 그 상징성을 적용하여 작품의 예술적 완성도를 높인 사례도 많다.
그 중에서도 어촌 심언광은 어촌만의 시적세계로 자연물의 의미를 독특하게 해석하였다. 교산 허균에게 정사룡의 시에 전혀 뒤질 게 없다는 평가와 함께 ‘웅혼하고 도타우며 화려하고 아름답다’는 극찬을 받을 정도였다. 어촌의 작품을 높게 평가하는 실학자 이익과 한치윤의 글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외에도 서하 이민서는 ‘기력이 혼연히 굳세고, 물 흐르듯 노련하다’는, 문암 이의철은 ‘바르고 우아하며 건실하고 풍부하며 화려하다’는 평을 하였다.
드디어 어촌 심언광의 업적과 문학적 가치에 제대로 된 빛을 비추다
하지만 권력을 독점하여 국정혼란을 야기한 김안로를 조정에 끌어 들인 인물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로 그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기록은 부정적이고 그 내용도 많지 않으며 본격적인 고찰은 그 양이 매우 협소하며 한시들에 대한 연구도 최근에 들어서야 비로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강릉문화원은 2010년 발간된 1집에 이어 3년간 어촌 심언광 전국학술세미나에 발표되었던 11편의 논문을 한자리에 모아 책으로 발간한다. 단지 그의 문학세계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생애와 사상까지 종합적인 분석을 집대성하였다. 어촌의 위상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더 눈부신 연구 성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기획: 강릉문화원
필자
박해남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김형태 경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강지희 한림대학교 기초교육대학 강사
박동욱 한양대학교 기초융합교육원 교수
하정승 한림대학교 기초교육대학 교수
박종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한춘순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객원교수
이혜정 경희대학교 강사
박도식 강릉문화원 평생교육원 주임교수
송수환 울산대학교 연구교수
발간사
1부 어촌 심언광의 문학세계
01 어촌 심언광의 시문학 고찰
박해남 _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02 어촌 심언광 시의 자연 인식과 상징성 연구
김형태 _경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03 어촌 심언광 영사시(詠史詩) 에 나타난 역사인식과 삶의 지향
강지희 _한림대학교 기초교육대학 강사
04 심언광의 「북정고」연구 82
박동욱 _한양대학교 기초융합교육원 교수
05 어촌 심언광의 한시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특질
하정승 _한림대학교 기초교육대학 교수
06 어촌 심언광 한시의 풍격(風格) 과 미적 특질
박종우 _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2부 어촌 심언광의 생애
07 어촌 심언광의 정치 역정과 생애
한춘순 _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객원교수
08 어촌 심언광의 삶과 교우관계
이혜정 _경희대학교 강사
3부 어촌 심언광의 사상
09 조선전기 수령제의 실태와 심언광의 수령관
박도식 _강릉문화원 평생교육원 주임교수
10 어촌 심언광의 ‘십점소(十漸疏)’ 고찰
송수환 _울산대학교 연구교수
11 어촌 심언광의 북방 경험과 국방 개선안
박도식 _강릉문화원 평생교육원 주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