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벽가 명창, 활 쏘고 불 지르다

by admin posted Aug 07,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적벽가 명창, 활 쏘고 불 지르다_표1.jpg



도서분류 예술 / 국악 / 판소리

총 서 명 판소리 명창 제5

도 서 명 적벽가 명창, 활 쏘고 불 지르다(붙임자료 적벽가오디오 CD)

편 저 자 국악음반박물관

출 판 사 채륜

정 가 38,000

발 행 일 2015810

상세정보 반양장, 342, 신국판(153mm×225mm), 책등 높이 17mm

I S B N 979-11-86096-14-7 94670



책소개.png

방대한 판소리 자료를 모아 엮은 전문 서적

꽃다운 적벽가를 담아낸 제5

국악음반박물관의 판소리 명창 시리즈 제5. ‘판소리 명창은 국악음반박물관에서 시리즈로 펴내는 판소리 자료 전문 집성지였는데 본래 서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었으나 지난 제4호부터는 개편을 통해 대중 앞에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 책에는 국악음반박물관 판소리연구회가 전국을 누비며 만난 판소리 명창 혹은 유망주들과의 대담, 평론, 판소리계 주요 소식, 명인·명창들과 관련된 희귀 자료 등 방대한 판소리 관련 자료가 수록되는데 매호마다 수록되는 자료와 주요 주제가 달라져 그 가치를 높인다.

이번 판소리 명창 제5에는 정순임, 안숙선, 이성근 명창과의 대담과 희귀한 강장원 명창의 글, 송만갑과 김창진의 춘향가유성기음반을 발견하게 된 글 그리고 박초월 명창의 유성기음반 가사지와 박동진 명창의 공연 사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최근 판소리 관련 신간·신보 소식은 물론 희귀한 시각 자료도 볼 수 있다.

특히 이번 호에는 붙임자료로 오디오 CD를 제공하는데, 판소리계에서 주목하는 젊은 여성 소리꾼들의 적벽가눈대목을 담아 듣는 즐거움까지 더하고 있다.



출판사서평.png

한옥에 울려 퍼지는 적벽가

10년 전, 국악음반박물관의 주최로 판소리계에서 차츰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 적벽가를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연속 감상회가 열린 적이 있었다. 감상회는 전통한옥에서 열렸는데 당시에는 보통의 공연이 현대식의 대형 공연장에서 열리는 것을 생각하면 파격이었다.

현대식 공연장은 공연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지어진 것이라 관람의 편의성은 보장될 수 있을지 모르나 명창과 귀명창의 거리가 멀고 추임새를 넣기에 적합하지 않아 관객과의 소통으로 완성되는 판소리의 묘미를 느끼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이런 생각에 국악음반박물관은 많은 관람객이 들어올 순 없어도, 판소리를 진정 사랑하는 소수의 인원이 제대로 판소리에 몰입할 수 있고 공연 후에는 명창과 귀명창들이 서로 교감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소리꾼은 외딴 무대에 서서 창을 하고 관객은 멀찍이 떨어져 앉아 스피커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듣는 이런 일방적 공연이 아니라 명창과 귀명창이 서로가 원하는 바를 소리판에 반영할 수 있는 공연이 바로 판소리 본연의 순수한 열정을 담은 모습이라 할 수 있겠다.

 

변화하되 지켜야 할 것, 지키되 변화해야 할 것

판소리가 나아갈 길

끊어져 가는 전통문화의 맥을 잇는 방법 중의 하나가 전통문화의 현대화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개개의 문화가 가지는 고유의 특성까지 버릴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관객의 개입 여지가 거의 없이 조용히 감상하는 서양 음악과 달리, 판소리는 소리꾼과 관객의 상호교감과 피드백에 따라 소리판의 느낌이 달라지는 공연이기에 소리꾼과 관객이 멀어지는 순간 판소리는 빛을 잃고 만다. 이렇게 보면 한옥에서의 판소리 공연은 파격이 아닌 자연스러운 것이다. 국악음반박물관 역시 한옥 풍류방의 편안하고 훈훈한 판소리 만찬 속에서 21세기 오늘날 그리고 미래에 진정으로 필요한 신작판소리도 소탈하고 활발하게 논의되고 만들어지고 덧붙여지고 사랑 속에서 꽃을 피울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있다. 물론 고유의 특성을 지키는 것이 다가 아니라 정통 완창 판소리의 전승, 새로운 가사에 의한 소리 창작, 그리고 판소리 자체 음악뿐 아니라 국악의 여러 장르, 한국 대중음악, 실크로드를 비롯한 한국과 관련이 있는 세계 민속음악 관찰, 응용을 통해서 판소리가 새롭게 나아갈 길을 모색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블록버스터 전쟁 영화의 재미와 강렬함을 능가하는 적벽가

판소리 적벽가는 수천억 원이 투입된 블록버스터 전쟁 영화의 재미와 강렬함을 능가하는 호소력이 있다. 때문에 관객의 수가 많지 않아도 몰입도가 높다. 귀명창과 명고수가 추임새를 통해 명창과 교감하고 점차 소리의 절정을 향해 나아가다 보면 모인 관객의 수십 배에 달하는 열기와 광활한 사건 현장에 관객이 실제로 서 있는 듯한 희열을 맛볼 수 있다. 한옥에서의 판소리 공연에 특히나 적합한 작품인 것이다.

이번 판소리 명창5적벽가 명창, 활 쏘고 불 지르다에는 판소리계에서 주목하는 젊은 여성 소리꾼들의 적벽가눈대목을 담은 붙임자료 음반을 수록하였다. 현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명창과의 직접적인 교감은 없더라도 이를 통해 책을 읽는 분들이 적벽가의 맛을 간접적으로나마 느꼈으면 한다.

이 책이 대중에게 판소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기폭제가 되기를 바라면서, 우리의 판소리 자료들을 모아 판소리 명창시리즈는 앞으로도 출간될 것이다.



지은이.png

저자 소개

엮고지은이

국악음반박물관

1986년부터 현재까지 국악 자료 63,000여 점을 수집, 정리하였다.(국악 음반 세계 최다 보유)

국악음반박물관이라는 명칭에서 국악은 나라 음악을 의미한다. 그래서 통상 전통음악을 의미하는 국악뿐 아니라 한국대중음악, 세계 각국 민속음악까지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 연구하고 있다. 그중에서 핵심에 두고 모으고 연구, 관리하는 분야는 한국전통음악이다.

26년에 걸쳐 국악자료 집성 인터넷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한국의 여러 음악 중에서 유일하게 국악 분야만 국악음반박물관에 의해 모든 음반이 정보화 데이터베이스가 완성되었고 1986~200520여 년 동안 국악 음반 사전 7(장르별 총 3,000여 쪽)을 완간하였다. 판소리 자료 집성 전문지 판소리 명창(2005~)을 시리즈로 발간하고 있다.

국악음반박물관 홈페이지(hearkorea.com)에 소장 자료를 DB 구축 중이며 국악음반박물관 인터넷 TV 방송(hearkoreaTV.com)을 통해서 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각종 희귀 유성기음반, 동영상 등의 자료를 전 세계에서 무료로 감상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관장_ 노재명

국악음반박물관 관장, 한국고음반연구회 회원이며 조지아에 국악음반박물관 부설 세계민속음악연구소를 설립하였다.

중고제 공연, 국악 고음반 전시회, 국악 유성기음반 복원 연주회, 판소리 3명창 특별공연, 귀명창대회, 적벽가 연속 감상회, 판소리 명창의 발자취를 찾아서, 소리MC 선발대회, 100개의 별 전주에 뜨다(명인명창 전주에 모이다) 행사, 한국 방짜 국악기 전시회, 한국-실크로드 국제 아리랑 축제, 지영희 특별전 등을 기획 연출하였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전통예술위원, 나라음악큰잔치 기획위원, 전주세계소리축제 프로그래머로서 총괄기획을 하였고 KBS, 국악방송 MC20여 년간 활동하였다. 국악과 함께 30여 년간 한국대중음악, 실크로드 음악에 대한 연구 작업도 해오고 있다. 국악 음반과 서적 총 400여 종을 기획 제작하였고 주요 논문 30여 편, 주요 저서 30여 종이 있다.



차례.png

책을 펴내며_ 수천억 원 투입된 블록버스터 전쟁 영화의 재미와 강렬함을 능가하는 적벽가 (_노재명)

 

1장 이야기를 만나다

01 명인·명창과의 만남 (정리_노재명)

· 판소리 명창 정순임 증언

· 판소리 명창 안숙선 증언

· 판소리 명고수 이성근 증언

· 국악 명인들의 한마디 (251)~(290)

 

02 명창의 글, 평론

· 판소리 명창 송만갑(宋萬甲) (_유기룡)

· 묘각(墓閣) 빌려 수업(修業) (_강장원)

· () 향곡 선생 추모 공연에 부쳐 (_김소희)

· 국창(國唱) 김소희(金素姬)

· 판소리계의 기둥 김소희(金素姬) (_이보형)

· 송만갑 춘향가 중 농부가1926년 유성기음반 발견 (_노재명)

· 김창진 춘향가 중 몽중가1931년 유성기음반 발견 (_노재명)

 

03 고문헌 (소장_국악음반박물관, 정리_노재명·김윤주)

· 판소리 명창 김창환 일행 국악 공연 광고

· 판소리 명창 이동백 일행 국악 공연 광고

· 판소리 명창 이화중선 유성기음반 광고

· 김영춘 글 심청아

· 김동욱 리포트 춘향전 비교(이본 양비)’ 필기

· 판소리 명창 임방울 타계 신문기사

· 판소리 명창 김동애 타계 신문기사

· 판소리 명창 김석창 손녀, 전통춤 명인 김숙자 타계 신문기사

· 판소리 명창 강도근 타계 신문기사

 

04 명창·명고수 약력 (수집·정리_국악음반박물관)

· 판소리 명창 정광수

· 판소리 명창 박초월

· 판소리 명창 김소희

 

2장 소리를 듣다

05 판소리 관련 신간과 신보

· 옥보 김옥진 명창·명무의 생애-못다 부른 육자배기

· 능주 씻김굿의 예인과 음악서적과 부록 DVD

· 민족음악 수호영웅, 지영희

· 판소리 명창 김연수

· 코카서스산맥 민속음악 여행-아르메니아·조지아

· 전통음악 음반 이야기 반락노재명·이진원 CD음반

 

06 판소리 관련 목록 소개

·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판소리 유성기음반 목록 (5) (정리_노재명)

·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판소리 서적 목록 (1) (정리_노재명·오은호)

 

07 판소리 사설 (소장_국악음반박물관)

· 판소리 명창 박초월 유성기음반 가사지

 

08 공연 안내 인쇄물 (소장_국악음반박물관)

· 진경국극단 창립 대공연 여성국극 사랑탑포스터

· ‘김소희 판소리의 밤공연 안내

· 무형문화재 정기 공연 최승희 판소리 춘향가공연 안내

· ‘명인 명창 옛가락 감상회행사 안내

· 국립창극단 일요 판소리 감상회공연 안내

· ‘고 향곡 김여란 선생 추모 공연안내

· 신재효 100주기 기념 공연 완창 판소리공연 안내

· ‘명창 조상현 판소리 심청가공연 안내

· ‘명창 김소희 판소리 춘향가공연 안내

· 판소리 발표회 박홍출 송제 적벽가 완창공연 안내

· ‘민소완 동초제 심청가 완창 발표회공연 안내

· 국립극장 완창 판소리공연 안내

· 국립창극단 토요 판소리 감상회공연 안내

· ‘고 박초월 선생 추모제안내

 

09 판소리계 근황

· 판소리 원로 박초선 명창 별세

 

10 소리의 현장 취재 (취재·정리_노재명)

· 국악 문화공간 (251)~(270)

 

3장 흔적을 보다

11 명창·명고수 사진 (소장_국악음반박물관)

· 판소리 명창 김여란과 그 제자 최승희·박초선 모습

· 판소리 명창 박동진 공연 장면

· 판소리 명창 안숙선·강정숙·전정민·김영자 사진

 

12 소리북 (소장_국악음반박물관)

· 20세기 초반의 판소리 북

· 털 안 뽑은 소가죽 그대로 살려 제작한 1970년대 판소리 북

 

13 손도장 (소장_국악음반박물관)

· 판소리 명창 최승희 손도장

 

14 기타 자료 (소장_국악음반박물관)

· 판소리 인간문화재 박봉술 명창 사망 진단서

· 인간문화재 공옥진 명인 인형

· 명창(추정) 정옥란·장옥란, 귀명창(추정) 홍해운 기록 한국 부채

 

더하기 꽃다운 적벽가를 만나다(선곡·_노재명)

붙임자료-CD 해설

· CD 수록곡 순서

· 소리꾼 소개

차세대 판소리 명창 오영지

차세대 판소리 명창 이현정

차세대 판소리 명창 홍송희


&CHROMELESS WINDOWS LAUN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