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창, 소리에 힘을 싣다

by anonymous posted Nov 13,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명창, 소리에 힘을 싣다 표1.jpg


도서분류 예술 / 국악 / 판소리

총 서 명 판소리 명창 제4

도 서 명 명창, 소리에 힘을 싣다

편 저 자 국악음반박물관

출 판 사 채륜

정 가 38,000

발 행 일 20141110

상세정보 반양장, 496, 신국판(153mm×225mm), 책등 높이 24mm

I S B N 979-11-86096-01-7 94670

 


책소개.png

 

우리의 소중한 전통문화, 판소리 자료를 모아 엮은 전문 서적

국악음반박물관의 판소리 명창시리즈 제4. 국악음반박물관 판소리연구회가 전국을 누비며 만난 판소리 명창 혹은 유망주들과의 대담, 판소리 자료, 평론, 판소리계 주요 소식 등을 소개했던 시리즈물 판소리 명창을 새로이 개편하여 출간했다. 우리의 소중한 전통문화임에도 세간의 관심에서 멀어진 판소리를 더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자, 이렇게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이 책이 많은 분들에게 우리의 소리와 명창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나아가 판소리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 세계인의 음악으로 우뚝 서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판소리 명창 시리즈는 계속 출간될 것이다.

 


출판사서평.png

 

한국 성악의 꽃, 판소리의 독창성과 아름다움 찾기

우리가 아주 쉽게 대중음악을 듣고 흥얼거리는 것처럼, 판소리를 평소에 즐기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아마 판소리가 대중가요처럼 사람들의 폭발적인 관심 안에 있었다면, 국가가 나서서 판소리를 보존하려 하진 않을 것 같다. 많은 사람에게서 향유되면, 변화는 있을지라도 존재가 사라지진 않으니 말이다.

판소리를 지키는 데 엄청난 국가 예산이 투입되고 있지만, 그 효과는 아주 미미하고 대중은 여전히 판소리에 관심이 없다. 이 책의 저자는 말한다. 판소리가 더욱 발전하려면 1조 원의 국가 지원금보다 더욱 강력한 힘, 소리꾼에게 힘이 되는 것은 소리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귀명창의 애정 어린 관심, 조언, 격려, 갈채, 추임새가 필요하다고.

판소리는 분명 다른 음악 장르에 뒤지지 않는다. 악보 없이 구전되기 때문에 같은 곡이라도 부르는 사람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즉흥적으로 작·편곡하는 묘미가 있다. 또 작곡자와 가수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현장성과 즉흥성이 뛰어나다. 반주나 오케스트라도 필요 없어서 어디서든 공연을 시작하기에 어려움이 없으며, 득음 이후에는(득음하는 과정이 험난하지만) 어떤 곡이든 융통성 있게 부를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게다가 자연 속에서 오랫동안 연마한 공력 있는 소리, 단전에서부터 힘을 실은 온몸을 울려 나오는 소리, 매우 다채로운 성음을 감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판소리는 매력이 있다. 또한 다른 공연과 달리 관중이 적극적으로 판소리 개입해 적재적소에 침 한방씩 놔 주듯이 추임새를 넣고 명창과 교감할 수 있다는 것도 커다란 매력이다. 그리고 단순히 귀만 감미로운 차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홍익인간 정신이 담겨있어서 이 세상 삶을 사랑하게 만들어 주고 마음을 곱게 해주는 긍정적인 측면도 강하다.

이렇듯 다른 음악 장르에 뒤지지 않을 만큼의 매력을 가진 판소리는 오늘날 세간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유능한 젊은 소리꾼들이 설 무대, 기댈 곳이 별반 없고 방송, 음반 제작에 있어서도 외면당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번 판소리 명창 제4명창, 소리에 힘을 싣다는 바로 국악음반박물관이 이런 현실에 안타까움을 느껴 출간하였다. 대중이 쉽게 발견할 수는 없었던 판소리 명창시리즈를 개편하여 대중 앞에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오늘날의 판소리는 위에서 이야기한 장점, 변화무쌍하게 판을 끌고 나가는 즉흥 작·편곡의 다양성이 많이 약해져 아쉽다. 판소리 애호가, 귀명창이 늘어나고 소리를 알아주는 이가 많다면 명창들 또한 득음을 위해 더욱 분발하게 되고 자연히 판소리 본연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라 저자는 기대하고 있다. 이 책이 대중에게 판소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기폭제가 되기를 바라면서, 우리의 판소리 자료들을 모아 앞으로도 계속 시리즈를 출간할 것이다.

 


지은이.png

 

엮고지은이

국악음반박물관

국악학자 노재명 관장이 29년간 전국의 국악 명인을 찾아다니며 채록한 여러 가지 기록과 음반·문헌·영상·악기 등의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각종 음반 전시 이외에도 국악, 세계민속음악 공연과 희귀 자료 기획전 등의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국악음반박물관 홈페이지(hearkorea.com)에 국악, 세계민속음악, 한국대중음악, 한국영화, 근대문화예술 소장 자료를 DB로 구축 중이며 국악음반박물관 인터넷 TV 방송(hearkoreaTV.com)을 통해서 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각종 희귀 유성기음반, 동영상 등의 자료를 전 세계에서 무료로 감상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국악음반박물관장_ 노재명

국악 음반과 서적 총 400여 종을 기획 제작했고 1986년부터 현재까지 국악 자료 63,000여 점을 수집, 정리하였다. 24년에 걸쳐 국악자료 정보화 데이터베이스 구축, 1986~200520여 년 동안 국악 음반 사전 7(장르별 총 3,000여 쪽)을 완간하였다.

국악 유성기음반 복원 연주회, 귀명창대회, 판소리 명창의 발자취를 찾아서, 소리MC 선발대회, 한국-실크로드 국제 아리랑 축제 등을 기획하고, 주요 논문 30여 편, 주요 저서 30여 권을 발표했다.

 


차례.png

 

책을 펴내며_한국 성악의 꽃, 판소리의 독창성과 아름다움 찾기 (_노재명)

 

1장 이야기를 만나다

01 명창과의 만남 (정리_노재명)

· 경기민요 인간문화재 묵계월 명창 증언

· 판소리 원로 조상현 명창 증언

· 판소리 인간문화재 홍정택 명창 증언

· 판소리 인간문화재 성창순 명창 증언

· 판소리 인간문화재 신영희 명창 증언

· 완제 시조창 인간문화재 이상술 명인 증언

· 나의 데뷰, 무용가 강선영 편 방송

· 11시에 만납시다-살풀이춤과 함께 60년 김숙자 편 방송

· 국악 명인들의 한마디(201)~(250)

 

02 명창의 글, 평론 그리고 시

· ‘판소리 송제 발표 공연인사 말씀 (_박봉술)

· 적벽가의 국창 박동진 (_이보형)

· ‘정정렬 도창 창극 춘향전빅타판 유성기음반 복원 공연의 의미 (_노재명)

· 판소리 인간문화재 이일주 명창 팔순 기념 축시 이어달리기(_노재명)

 

03 고문헌 (정리_김윤주)

· 판소리 명창 송만갑·김창환 관련 신문기사

· 동아일보 연재 명인 명창신문기사

· 판소리 인간문화재 김연수 명창 타계 신문기사

· 판소리 고법 인간문화재 김명환 명고수 타계 신문기사

· 판소리 고법 인간문화재 김동준 명고수 타계 신문기사

· 판소리 인간문화재 김소희 명창 타계 신문기사

 

04 명창·명고수 약력 (수집·정리_국악음반박물관)

· 판소리 명창 박록주

· 판소리·가야금병창 명인 박귀희

· 판소리 명창 김여란

· 판소리 명창 김연수

· 명고수 김득수

 

2장 소리를 듣다

05 판소리 신간과 신보

· 이보형 평론집(1) 뿌리깊은나무 편-비로소 알려진 보물

· 이보형 평론집(2) 음악동아 편-일백년을 헤쳐온 슬기

· 중고제 판소리 흔적을 찾아서

· 월북 국악인 연구

· 동편제 심청가의 복원 및 재현 자료집

· 판소리 명창 이옥천

· 전통음악 음반 이야기 반락

 

06 판소리 관련 목록 소개

· 판소리 인간문화재 박봉술 명창 유품 카세트·비디오테입 목록

·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판소리 유성기음반 목록(4)

·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판소리 7인치·10인치 장시간음반 목록

· KBS ‘흥겨운 한마당-명인 명음반 제1~50국악음반박물관 소장 음반 소개 방송목록 (20134~20144)

· 국악 방송(15) hearkoreaTV

 

07 판소리 사설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 판소리 명창 임방울 유성기음반 가사지

 

08 공연 안내 인쇄물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 ‘조선 일류 명창 대회행사 안내

· 대한국악원 산하 여성국악단 목동과 공주공연 안내

· 햇님국극단의 여성국극 마의태자공연 안내

· 박록주·김연수 등의 창극 대춘향전공연 안내

· 박록주·김연수 등의 창극 대춘향전공연 홍보물

· 햇님국극단 여성국극 님은 하나이기에공연 안내

· 햇님국극단의 여성국극 아라리공연 안내

· 햇님국극단의 여성국극 이차돈공연 안내

· 이화여대 70주년 기념극 춘향공연 안내

· 새한국악단의 여성국극 무지개공연 안내

· ‘원각사 개관 예술제안내

· 삼성사의 여성국극 원술화랑공연 안내

· 임방울·한주환 등 출연 김윤덕 국악 발표회안내

· 국악예술학교 개교 기념 연주회 안내

· ‘1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 공연안내

· 국립창극단 창극 흥보가공연 안내

· 국립창극단 판소리 흥보가연창 공연 안내

· 국립창극단 판소리 정기 감상회 공연 안내

· 김소희 판소리 연구소 민요 발표회 안내

· 박동진 판소리 흥보가감상회 안내

· 국립창극단 완판 창극 심청가공연 안내

· ‘판소리 송제 발표 공연안내

 

09 판소리계 근황

· 판소리 인간문화재 홍정택 명창 별세

· 판소리 인간문화재 최난수 명창 별세

· ‘고 최란수 명창의 삶과 예술전시회

· 판소리 인간문화재 성우향 명창 팔순 잔치

· 요양원에 입원한 성우향 명창(2013)

· 성우향 명창 별세

 

10 소리의 현장 취재

· 국악 문화공간(201)~(250) (취재·정리_노재명)

 

3장 흔적을 보다

11 명창·명고수 사진

· 김정문·신금홍 창극 춘향전 유성기음반 취입 기념 사진

· 판소리 명창 김창환 사진

· 판소리 명고수 김세준 사진

· 대금산조 인간문화재 이생강 명인과 최순이 여사 혼인식 기념 단체사진

· 판소리 명창 박봉술 북반주 장면

· 미국 시카고 국악 공연 기념 단체사진

· 판소리 명고수 이준식 사진

· 판소리 명창 이일주 사진

· 가야금산조·병창·전통춤 명인 심태진 사진

· 중고제 판소리 흔적을 찾아서출판 기념 공연 사진

· ‘42회 판소리 유파 대제전공연 기념 단체사진

· 중고제 명가문 심화영 명인 추모 공연 사진

· ‘반락행사, 최상일·노재명·이진원 음반 이야기 편 장면

· 판소리 인간문화재 정순임 명창 환영사 장면

· ‘300년 내린 판소리, 유파 대제전행사 기념 단체사진

· 왕서은 고제 춘향가 복원 공연 사진

· ‘동편제 심청가의 복원 및 재현-박록주 심청가의 복원 및 재현행사 사진

· MBC 다큐멘터리 소리를 하라 하시오’(판소리 동초제 시조 김연수) 방송 화면

· 차복순 판소리 춘향가 공연 기념 사진

· ‘한국-실크로드 국제 아리랑축제기념 단체사진

· 이옥천 명창 판소리 흥보가 지도 장면

 

12 소리북

· 전라도 판소리 북 (20세기 전반기,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 판소리 북 (20세기 전반기,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13 손도장

· 명창 남해성·박양덕·신옥화·지수복 손도장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 명고수 이성근·주봉신 손도장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14 기타 자료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 이명희 명창 전주대사습 판소리 장원 기념 부채

· 국악 인간문화재 사진 수록 공중전화카드

· 판소리 명창 모흥갑 우표 실사용 부착 우편물

· 중국 조선족 판소리·서도소리·가야금 원로 신옥화 명인 머리카락


&CHROMELESS WINDOWS LAUN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