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설화연구

by anonymous posted Jul 22,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심청설화연구_표지.jpg




도서분류 한국문학론/ 한국고전문학/ 구비문학, 설화

도 서 명 심청설화연구

지 은 이 이영수

출 판 사 채륜

정 가 19,000

발 행 일 20140420

상세정보 반양장, 290, 신국판 (153m/m×225m/m)

I S B N 978-89-93799-80-4 93800

 

 


책소개.png

설화 연구의 새로운 흐름 소설의 설화화

기존의 연구는 설화의 소설화라는 시각에 맞춰 어떤 설화가 무슨 소설에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논의가 주류를 이뤘다. 그러나 이 책은 설화가 소설에 영향을 미쳤다면 반대로 소설이 설화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출발한 것이다. , 소설 심청전에서 제재를 취해 구전되는 설화를 심청설화라고 부르며, 이러한 현상을 크게 소설의 설화화라고 정의한다.

 



출판사서평.png

기존의 연구에서 등한시하였던 소설의 설화화를 조명

이 책은 설화의 소설화를 주장하는 기존의 통념과는 달리 소설의 설화화라는 새로운 시각을 선보인다. 설화전승집단이 소설을 토대로 구술한 것을 설화로 보아야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한 것이다. , 소설 심청전에서 제재를 취해 구전되는 설화를 심청설화라고 부르며, 이러한 현상을 크게 소설의 설화화라고 정의한다.

 

살아있는 채록을 중심으로 구조를 분석하여

설화별 모티브를 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

일반인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구한 채록을 면면히 살펴 구조를 분석하였다. 심청전심청설화로 이행하면서 나타는 현상, 계기, 변화, 차이점 등을 묶음별로 그 특징을 잡아내었다. 특히, 설화별 모티브를 표로 한눈에 정리하였다는 것이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향후 다른 고전소설의 설화화 과정을 밝히는 연구에 도움

심청설화를 다룬 책은 많지만, 설화와 소설의 흐름을 완전히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본 것이 매우 흥미롭게 다가온다. 이로써 이 책은 설화를 보는 시각을 넓히고 설화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향후에 다른 고전 소설의 설화화 과정을 밝히는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지은이.png    

이영수

 

인하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동 대학원 수료(문학박사)

인하대학교, 안산대학교 출강

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

 

주요 논저

    

한국설화연구

 

소설에 반영된 민속신앙에 대한 고찰

일제강점기 일본인과 조선인의 온돌관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혼인유형과 혼례식의 변모양상

<장화홍련> 설화 연구

일제강점기 한식(寒食)의 지속과 변화

인천 문학산 설화 연구

 



  차례.png  

머리말

 

1장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 자료 및 방법

 

2심청전의 설화화와 심청설화유형의 변이 양상

1. 심청전의 설화화와 심청설화의 형성

1) 심청전의 설화화 과정

2) ‘심청설화의 형성 과정

2. ‘심청설화유형의 변이 양상

1) ‘심청설화의 기본형

2) ‘심청설화의 변이형

(1) 효행담

(2) 인신공희담

(3) 배경담

(4) 증거담

3) ‘심청설화각 유형의 특징

 

3심청설화의 구조 분석

1. 심청의 출생

2. 모친의 부재와 심청의 궁핍한 어린 시절

3. 아버지의 개안을 위한 심청의 매신(賣身)

4. 심청의 인당수 투신과 인신공희

5. 심청의 죽음과 재생

6. 심청의 결혼과 심 봉사의 개안

7. 심청과 관련된 부연설명

 

4심청설화의 특징

1. 설화전승집단의 전승 의식

2. 악인형 인물의 망각화

3. 설화의 습득 과정과 구술의 차이

 

5장 결론

 

부록

 

참고문헌

 


&CHROMELESS WINDOWS LAUN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