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훈_국어문헌자료총서 3

by anonymous posted Jul 22,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훈표지_온라인.jpg




도서분류 국어학

시리즈명 국립국어원 국어문헌자료총서 3

도 서 명 내훈

지 은 이 이선영, 이승희

정 가 18,000

발 행 일 20111130

상세정보 양장, 325, 신국판(153mm×225mm)

I S B N 978-89-93799-47-7 93710

 



책소개.png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성 훈육서

국어 문헌 자료 총서는 국립국어원이 국어 문화유산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 국어 문헌 자료를 현대인이 읽기 편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만든 것인데, 그 세 번째 권이 바로 내훈이다. “내훈은 조선시대 성종의 어머니 소혜왕후가 부녀자의 훈육에 필요한 부분을 중국의 교화서(敎化書)에서 추려내어 언해한 책으로, 궁중의 비빈과 사대부 여성들을 위한 훈육서가 없던 시절에 가부장적 지배질서에 따른 조선시대 여성상을 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원문, 언해문, 현대어역 순으로 정리한 한글 풀이와 시대별로 상이했던 표기의 변화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국어 연구를 위한 자료로도 가치가 매우 크다.

    

 

 

출판사서평.png

국립국어원에서 국어 문화유산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 추진한 국어 문헌 자료 총서 간행 사업은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현대어로 풀이하여 사람들이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그 세 번째로 역주 및 해설 작업을 거친 내훈은 성종의 어머니 소혜왕후가 부녀자들을 훈육하기 위해 간행한 책이다. 가부장적 지배질서에 순응하는 조선시대 여성상을 정립하는 데 일조한 대표적 여성 훈육서로, 당시 여성들의 삶을 되돌아볼 수 있다. 중국의 교화서(敎化書)소학(小學)’‚ ‘열녀전(烈女傳)’‚ ‘여교(女敎)’‚ ‘명감(明鑑)’을 편집해 만들어졌지만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부분을 뽑아낸 것이기에,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볼 수 있어 현대인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책은 모두 일곱 장으로 되어 있는데 제1장 언행장에서는 부녀자의 말과 행실에서 주의할 점과 지켜야 할 점을 말하고 있고, 2장 효친장에서는 어버이에 대한 효도 방법, 3장 혼례장에서는 혼인의 예절, 4장 부부장에서는 부부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를 이야기하고 있다. 5장 모의장에서는 어머니로서의 예의범절을 밝히고 있고, 6장 돈목장에서는 동서 또는 친척들과 화목하게 지내는 방법을 말하고 있으며, 7장 염검장에서는 청렴과 검소함으로 어떻게 생활하고 손님을 대접하며 남편을 보필해야 하는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지은이.png

이선영

대구 출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현재 홍익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논저

우리말 연구 서른아홉 마당(공저, 2005)

국어 어간복합어 연구(2006)

소멸어 연구의 한 가지 방법에 대하여(2007)

내훈의 희귀어에 대하여(2010)

국어 어휘론 개설(공저, 2011) 외 다수

 

이승희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대우전임강사

현재 상명대학교 사범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논저

국어 청자높임법의 역사적 변화(2007)

후기 근대국어의 시제체계 변화에 따른 종결어미의 재편(2008)

중세국어 ‘NP1NP2’ 구성의 의미유형에 대한 고찰(2009)

순원왕후의 한글편지(2010)

조선시대 한글편지를 활용한 국어사 교육(2011) 외 다수

 

 

   

차례.png

책머리에

일러두기

 

1내훈해제

 

2내훈현대어역 및 주석

1. 내훈서(內訓序)

2. 내훈 권 제일(內訓 卷 第一)

1) 언행장 제일(言行章 第一)

2) 효친장 제이(孝親章 第二)

3) 혼례장 제삼(昏禮章 第三)

3. 내훈 권 제이 상(內訓 卷 第二 上)

1) 부부장 제사(夫婦章 第四)

4. 내훈 권 제이 하(內訓 卷 第二 下)

5. 내훈 권 제삼(內訓 卷 第三)

1) 모의장 제오(母儀章 第五)

2) 돈목장 제육(敦睦章 第六)

3) 염검장 제칠(廉儉章 第七)

 

3부 찾아보기


&CHROMELESS WINDOWS LAUN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