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분류 국악
시리즈명 남북문화예술학회 연구총서 01
도 서 명 연변성악의 성.음 연구
지 은 이 신옥분
출 판 사 채륜
정 가 17,000원
발 행 일 2012년 05월 09일
상세정보 양장, 224쪽, 신국판(153mm×225mm)
I S B N 978-89-93799-60-6 93670
연변조선족 성악예술의 역사와 대표적 음악가들
남북문화예술학회 연구총서 첫 번째 책인 “연변성악의 성, 음(聲音) 연구”는 중국조선족, 그중에서도 연변조선족을 대상으로 한 성악예술의 성과 음에 대해 다루고 있다. 특히 조선민족의 성악예술에 애착을 가지고 다수의 연구를 진행해 온 저자가 아직 초창기에 불과한 연변성악의 성, 음 연구를 한층 더 높은 차원으로 이끌어주고 있어 눈길을 끈다. 성악예술의 역사 발전단계와 각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 연창가들은 물론 그들이 추구하는 성, 음적인 효과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연변조선족 성악예술에서의 성과 음에 대한 이 책은 향후 중국조선족의 성악예술로 그 범위를 넓혀가는 토대가 되어, 우리 민족의 성악예술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연변성악의 성과 음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총서
성악은 사람의 인체 중 그 자체가 악기라 할 수 있는 성대를 통해 이루어지는 음악이다. 사람의 소리라는 음원에, 문학과 음악이 결합되어 나오는 인간의 목소리로 그 미적인 가치가 실행되는 예술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성악에 관련된 연구들은 오랜 시간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중국조선족의 성악예술에 관한 연구, 그중에서도 연변조선족의 성악예술에 대하여는 그 단계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책 “연변성악의 성, 음(聲音) 연구”는 지난 연변 성악예술의 역사와 현재의 성, 음적 추구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진로에 대하여 탐색하며 연변 성악예술이 건전하게 발전하는 데 적극적인 작용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즉 연변조선족 성악예술의 역사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알아보고, 여러 시대의 대표적인 성악가와 성악교육가 그리고 작곡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작곡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속에 내재된 성, 음에 대한 변화과정들을 찾아봄으로써, 향후 중국조선족 성악예술이 어디에서 왔고 어떠한 형태로 나누어지며 또 어떻게 발전 변화할지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중국조선족 음악문화뿐만 아니라 나아가 세계한민족의 예술문화를 연구하는 데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신옥분(Yu-Fen, Shen)
중국 연변대학교 예술학원 졸업.
2011년 2월 한국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1987년 7월 연변 주 군중예술관 성악지도.
1999년 1월 현재 연변대학교 예술학원 성악교수.
수계전국소수민족가수(首屆全國少數民族歌手) 성악 콩쿠르 2등상, 제5계 전국 군성장(群星獎) 성악 콩쿠르에서 표현 3등상, 길림성신묘배(吉林省新苗杯) 콩쿠르에서 성악지도 1등상 등 다수 수상.
저서: “조선민족예술가곡 해석”
논문: ‘성(聲)과 표현예술에 대한 연구’, ‘성, 음, 악의 시각에서 본 주체발성법연구’, ‘연창자의 심리상태 연구’, ‘연변성악에 대한 소고(小考)’ 등 20여 편을 주요학술지와 국내외 학술 세미나에서 발표하였다.
축하의 글
이 책을 읽기에 앞서
제1장 내두리
1. 목적과 의의
2. 연구범위와 방법
3. 현행 연구 성과 검토
제2장 중국조선족 성악예술의 생성과정
1. 사적(史的)인 연구에 대한 검토
2. 연변 성악예술의 역사적 배경
1) 사회주의 건설초기(1949~1966)의 성악예술작품
2) ‘문화대혁명’시기의 성악예술작품
3) 개혁개방 이후의 성악예술작품
3. 성악예술인의 작용과 특성
1) 연변 성악예술계에서의 성악가 및 성악교육가
2) 연변 성악예술에서 두각을 보인 작곡가들
제3장 성악예술에서의 성(聲)과 음(音)에 대한 탐구
1. 성(聲)에 대한 추구
1) 성(聲)에 대한 고찰
2) 성악예술에서의 성(聲)
2. 성악예술에서의 음(音)적 추구
1) 음(音)에 대한 고찰
2) 선인들의 음(音)
3) 성(聲)과 음(音)의 관계
제4장 마무리
이 책을 맺으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