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문학과 은유 -우리문학비평 02

by anonymous posted Jul 22,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상표1이미지1.jpg




< 2010년 우수학술도서선정 >



도서명: 이상 문학과 은유 -우리문학비평 02

지은이: 김옥

분야:한국문학론, 한국작가론

발행일:20091230

ISBN 978-89-93799-03-3 93800

신국판(152mm×223mm), 반양장, 319, 17,000

 


 

은유는 뛰어난 이상의 비유다

 

 

책소개.png

이 책은 수사학의 한 분야인 은유가 서로 다른 두 관념 사이에 이루어지는 제3의 상호작용이자 인식의 개념임을 이상의 작품을 통해서 서술하고 있다.

 



출판사서평.png 

고전 수사학의 비유론에서 문채의 의미 작용 가운데 은유에 할당된 자리는 닮음의 관계로서 처음 개념이 새로운 개념으로 전이하는 역할로 정의할 수 있다. 은유는 뛰어난 닮음의 비유다. 닮음의 주제는 빌려오기, 일탈, 대치, 그리고 완전한 말 바꾸기의 주제와 밀접하게 연결된다. 즉 닮음은 무엇보다 빌려오기의 동기가 되며, 닮음이 은유의 긍정적인 면이라면 일탈은 부정적인 면이며, 닮음은 치환 축 안에서의 내적인 연결이다. 그리고 닮음은 본래의 의미를 회복시켜서 비유를 무효로 만드는 말 바꿔서 설명하기로 이끈다.

 

비유는 인생관이나 세계관과 맞닿아 있다. 어떤 진술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인생관이나 세계관을 드러내는 역동적인 구실을 맡는다. 그렇기 때문에 비유 사용에 따라 그 비유를 쓰는 사람의 세계관을 읽을 수 있다. 이 책에서 이상의 은유적 세계관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경제 은유, 기계 은유, 존재 사슬의 은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경제 은유에서는 사람의 존재 이유가 화폐로 비유되면서 1)사회인의 파산, 2)문벌 후계자의 파산, 3)가정의 파산이라는 비유로 구조화됨을 알 수 있다. 사회인의 파산에서는 사회생활을 하는 데 자기 존재의 이유가 되는 중요한 것의 파산, 즉 이상에게는 의 차압이 된다. 이상의 작품에서 사람이 화폐 가치로 환산됨에 따라 사람의 보이지 않는 인격으로 대변되는 정조 관념이라든가 윤리관, 양심, 우정의 문제가 재산 축적에 방해가 되는 가난의 항목으로 비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책은 수사학의 한 분야인 은유가 서로 다른 두 관념 사이에 이루어지는 제3의 상호작용이자 인식의 개념임을 이상의 작품을 통해서 서술하고 있다. 먼저 은유의 이론적 배경과 형태론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상의 작품론에서는 은유라는 이론적 틀을 통해서 모더니스트 이상의 난해한 문학 작품에 깔려 있는 암호의 베일을 벗기고 있다. 1930년대 작가인 이상은 현대문명의 모든 병폐와 고민을 암호와 같은 문자로 표현하며 살았는데, 그 핵심에는 은유라는 그림 언어가 있다. 작가는 그림 언어인 은유를 통해 시대의 문제를 자신의 존재이유로 삼아 치열하게 고민하였음을 이 책에서 알 수 있겠다.

 


 

지은이.png

김옥순


서울 출생

이화여자 중고등학교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충남 정의여자중고등학교 국어교사 역임

인천시 신명여자고등학교 국어교사 역임

이화여대 대학원 국문과 석사, 박사 수료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역임

이대 기호학연구소 연구원 역임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재직

공저: 페미니즘의 시학(동화서적)

공역: 비교문학(문학과지성사), 기호학사전(우석), 페미니즘과 문학(문예출판사), 옛이야기의 매력(시공사)

 



차례.png

책 앞에 붙이는 말

 

1. 독서의 공간 은유

독서의 공간 은유 이상 시 화로를 중심으로

1. 은유란

2. 사람의 비유 체계

3. 독서 행위와 독해 행위

 

2. 비유법으로 이상의 수필 권태읽기

비유법으로 이상의 수필 권태읽기

1. 이상 작품과 은유

2. 수필 권태에 나타난 은유의 기능

3. ‘존재 이유없음의 은유

4. 존재 이유의 은유

5. 맺으면서

 

3. 이상의 언어은유(隱喩)

I.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 방향

II. 은유의 언술 이론

1. 언술 은유의 이론적 배경

2. 언술 은유의 근거

3. 은유의 형태론

III. 도구적 사고로서의 은유 체계 1 화폐 경제의 은유

1. 파산의 은유

2. 교환의 은유

IV. 도구적 사고로서의 은유 체계 2 기계 문명의 은유

1. 식물의 인공화

2. 건축 언어

3. 기계 언어

V. 존재로서의 은유 체계 존재 사슬의 은유

1. 무위(無爲)의 은유

2. 존재 사슬(Chain of Being)의 은유

VI.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CHROMELESS WINDOWS LAUN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