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분류 역사·문화 / 민속학 / 한국문화
총 서 명 강릉단오제보존회 연구총서 02
도 서 명 강릉단오제 제례 전수교육 교본
엮 은 이 사)강릉단오제보존회
지 은 이 심오섭, 김기설, 박도식
출 판 사 채륜
정 가 25,000원
발 행 일 2017년 11월 10일
상세정보 반양장, 251쪽, 4×6배판(188mm×257mm), 책등 높이 16mm
I S B N 979-11-86096-55-0 93380
국가무형문화재 강릉단오제
제례의 보존 및 전수를 위한 교육교본
강릉단오제 제례의 원형 보존과 전승을 위한 교육교본.
이 책은 강릉단오제 전승자들이 제례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제례의 의미와 역사, 변천과정 등을 담고 있다. 더불어 제례 진행 시 꼭 갖추어야 할 홀기, 축문, 복식, 제기, 제물과 진행 과정을 상세하게 수록하고 있다. 모든 과정은 사진 및 일러스트가 함께하고 있어 교본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이 교본을 통해 강릉단오제 제례 전승자들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전수교육을 받을 수 있을 것이며, 전통축제인 강릉단오제 제례의 원형을 후대에 남기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무형문화유산
강릉단오제 제례의 모든 것을 담다
강릉단오제는 ‘단오’를 전후해 진행되는 강릉의 향토 제례의식이며 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관령국사성황 신앙과 단오라는 세시풍속이 결합한 신앙과 놀이, 그리고 난장이 잘 조화를 이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축제이면서 그 규모가 가장 크다.
전통의식은 시간이 지나면 으레 변형되거나 간소화되어, 본 모습을 찾기 어려울 때가 많다. 이는 현대에도 활발히 진행되는 강릉단오제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올바른 전승을 위한 기록물이 꼭 필요하다.
이 책에는 강릉단오제 제례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제례의 역사와 유래, 특징, 제의 대상 등 개괄적인 내용은 물론이고 제례를 진행할 때 필요한 제물, 복식, 진행 과정을 아주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어 이 한 권으로 강릉단오제 제례를 이해하고 교육받는 데 무리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강릉단오제 제례를 지내는 데 지침이 되는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시각자료로
더욱 생생한 교육교본의 역할을
강릉단오제 제례에 대한 모든 내용을 담았다고 해도, 그것이 글로만 적혀 있다면 교본의 역할을 수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책은 제례에 필요한 준비물과 진행 과정 설명에 사진 및 일러스트가 포함되어 있어 현장감을 더해준다. 제기, 제물, 복식 등은 실물 사진을 통해 그 생김새를 알 수 있고, 제례를 진행하는 과정은 일러스트를 통해 표현하여 강릉단오제 제례 전승자를 위한 교육교본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이 교본을 통해 강릉단오제 제례 전승자들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전수교육을 받을 수 있을 것이며, 전통축제인 강릉단오제 제례의 원형을 후대에 남기는 소중한 기록유산으로 남을 것이다.
기획
사)강릉단오제보존회
필자 소개
심오섭(강릉단오제 제례 전수교육조교)
김기설(강릉민속문화연구소 소장)
박도식(강릉문화원 부설 평생교육원 교수)
사진
사)강릉단오제보존회, 김기설
발간사
1. 제례의 역사적 전개와 성황제(서낭제)
가. 제례의 의미
나. 제례의 역사적 전개
다. 성황제(서낭제)의 유래와 변천
2. 강릉단오제의 유래와 특징
가. 강릉단오제의 유래
나. 강릉단오제의 특징
3. 강릉단오제 제의 대상
가. 대관령산신
나. 대관령국사성황신
다. 대관령국사여성황신
라. 대성황사
마. 약국서낭
바. 대창리서낭
사. 굴산사지(사적 제448호)
아. 대창역
자. 학산리 범일국사의 생가 터
차. 정씨가 여인의 생가 터
카. 칠사당
타. 제민원 서낭
파. 굴면이 서낭당
하. 구산서낭당
4. 헌관 및 제집사
가. 헌관 및 제집사 선정
나. 제집사의 역할
5. 제물 준비 및 진설도
가. 제기의 의미와 명칭
나. 제물의 종류
다. 제물준비
라. 제물 고이기
마. 포장하기
바. 진설도
6. 제례복식
가. 복식별 명칭과 설명
나. 입는 방법과 순서
다. 고름 매는 방법
라. 대님 차는 방법
마. 유건 쓰는 방법
바. 행전 차는 방법
사. 의복 정리 방법
7. 행사별 제례 진행 과정
가. 신주빚기
나. 대관령산신제
다. 대관령국사성황제
라. 신목 모시기 및 국사성황 행차
마. 구산서낭제
바. 학산서낭제
사. 봉안제
아. 영신제
자. 영신행차
차. 경방댁 치제
카. 조전제
타. 송신제
파. 소제
부록
강릉단오제 국가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강릉단오제 산신제 홀기, 축문(1980년대~1999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