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분류 예술, 대중문화 / 국악 / 판소리
총 서 명 동초제 판소리 다섯바탕 악보집 2
도 서 명 흥보가
채 보 서정민
출 판 사 채륜
정 가 30,000원
발 행 일 2016년 9월 30일
상세정보 반양장, 316쪽, 국배판(210mm×297mm), 책등 높이 17.5mm
I S B N 979-11-86096-40-6 94670
김연수는 동초제라는 판소리 유파를 완성하였다. 이 소리는 김연수가 직접 정리한 다섯 바탕의 창본으로 전하여 지고 있으며 동초바디’, ‘김연수제’, ‘김연수바디’ 등으로도 불린다. 그가 1967년 방송 송출을 위해 부른 판소리 다섯 바탕의 음원까지 더불어 이는 창시자 본인이 직접 부른 음원과 사설 다섯 바탕이 모두 전해지는 유일한 판소리 유파라 할 수 있겠다.
이 책은 동초제 판소리 다섯바탕 악보집 총서의 두 번째 책으로 다섯 바탕 중 ‘흥보가’를 오선보에 악보화하였다. 이 책이 판소리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더 나아가 음악학적 연구에도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 크다.
채보
서정민
전라북도지정 무형문화제 제2호 심청가 이수자
한양대학교 음악학 박사(Ph. D)
(사)동초제판소리보존회 이사
제22회 임방울국악제 판소리 명창부 대통령상 수상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음악과에서 판소리를 전공하여 예술사와 예술전문사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에서 『김연수 바디 <적벽가>의 구성과 음악적 특징』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판소리 실기 뿐 아니라 판소리 이론에 대해 공부하고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정응민 수궁가 중 초입 네 대목 연구』(판소리연구 23집), 『흥보가 중 제비가에 나타난 설렁제의 구현 양상』(판소리연구 제27집), 『육자배기토리권 무가와 판소리의 진양조 비교 연구』(우리춤연구 제9집), 『춘향가 중 군로사령 대목의 설렁제 변화양상』(한국음악사학보 제44집) 등이 있다. 악보집으로는 《동초제 판소리 다섯바탕 악보집1 - 적벽가》(채륜)이 있으며, 현재는 판소리 독창회와 더불어 판소리를 악보화하는 작업에도 힘을 쏟고 있다.
동초제 <흥보가> 악보집을 펴내면서
01 동초제 <흥보가> 악보
02 동초제 <흥보가> 사설
동초제 <흥보가> 사설 풀어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