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분류 역사/문화, 민속학
총 서 명 동양학총서 44집
도 서 명 일생의례 관련 자료집
부 제 일본어 잡지 편
엮 은 이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정 가 52,000원
발 행 일 2012년 07월 30일
상세정보 양장, 508쪽, 크라운판(173mm×245mm)
I S B N 978-89-93799-64-4 94380
동양학총서 44집,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자료총서-일생의례 관련 자료집: 일본어 잡지 편”은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 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이라는 주제 아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의 결과물이다. 특히 일본어 잡지 “朝鮮及滿洲”, “朝鮮” 에 수록된 한국인의 일생의례 관련 자료를 선별하여 소개한다.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우리의 일생의례 풍습을 추적한다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발간된 일생의례에 관한 일본어 잡지 자료를 한데 엮었다. 자료의 부족으로 모든 일생의례를 다 실을 수는 없었지만, 혼례, 상례, 제례 등 주요한 의례가 수록되어 있다. 동양학연구원은 일생의례 연구가 부족한 학계의 실정을 인지하고, 자료집을 통해 일생의례 연구가 조금이나마 활성화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이 자료집을 발간했다. 양은 방대하지 않을지라도 그 질만큼은 뒤떨어지지 않아, 당시 한국인의 의례모습을 알 수 있는 유익한 자료가 되어 줄 것이다. 또한 일본인의 식민지 정책이 미친 우리의 전통 일생의례가 어떤 모습으로 지속 혹은 변용되었는지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엮은이 소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발간사
책머리에
1부 혼례
「朝鮮婚禮風俗」(一記者)
「朝鮮の婚姻に就て」(小田幹治郎)
「朝鮮の舊慣と離婚」(淺見倫治郎)
「內鮮人通婚の狀態如何」(難波可水)
「內鮮結婚者と其の家庭」(天來生)
「內鮮人通婚民籍手續に就いて」(原正鼎)
「著しく增加の傾向を辿る内鮮人の結婚」
「內鮮人配偶者の趨勢」
「だんだん殖えゆく内地人と朝鮮人の 配偶者」
「朝鮮の結婚離婚趨勢」(善生永助)
「朝鮮に於ける同族不婚の原則」(伊藤憲郎)
「內地人と朝鮮人の配偶者」(總務課)
「朝鮮の結婚に關する慣習」(李能和)
「朝鮮に於ける王家及び庶民の婚制」(李能和)
「朝鮮婚姻制の 一面觀察」(今村鞆)
「統計上より觀たる朝鮮の結婚と離婚」(眞鍋半八)
「內鮮人の通婚狀態」(善生永助)
「朝鮮人の婚禮風景」(X, Y, Z)
「內鮮一體と內鮮相婚」(玄永爕)
「朝鮮古代社會に於ける拜火思想と婚姻制度の淵源に關する考察」(張承斗)
「朝鮮古代社會に於ける拜火思想と婚姻制度の淵源に關する考察」[承前](張承斗)
「朝鮮原始諸種族の婚姻」(張承斗)
「朝鮮原始諸種族の婚姻[承前]」(張承斗)
「李朝社會の婚姻儀式に就て」(張承斗)
「李朝社會の婚姻儀式に就て[五]」(張承斗)
「李朝社會の婚姻儀式に就て[承前]」(張承斗)
「李朝社會の婚姻儀式に就て[完]」(張承斗)
「李朝社會に於ける再婚の禁制[上~下]」(鶴山憲)
2부 상례
「朝鮮墳墓の整理」(淺見倫太郎)
「支那と朝鮮との國喪儀禮比較」(尹喜永)
「朝鮮大喪儀禮の大要」(荻山秀雄)
「樂浪古墳の話」(針替埋平)
「朝鮮の墓地問題」(西龜三圭)
3부 제례
「内鮮共通せる祭祀に就て」(星野輝興)
「朝鮮舊時の 祭祀槪要[其一~其五]」(小田省吾)
「文廟の釋尊祭儀」(金完鎭)
「李王家の祭祀」(李鍾龍)
「朝鮮神宮の年中祭祀」(吉田貞治)
「朝鮮の部落祭」(村山智順)
「朝鮮に於ける神社の祭と附帶行事」(小山文雄)
「京城神社の恒例大祭」(市秋弘)
「儒敎以前の祖先崇拜」(秋葉隆)
4부 종합
「儀禮の話」(李覺鍾)
「儀禮の話[二]」(李覺鍾)
「儀禮の話[完]」(李覺鍾)
제목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