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례로보는근대한국인의삶_표지이미지.jpg



< 201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



도서분류 민속학 / 근대문화

도 서 명 일생의례로 보는 근대 한국인의 삶

편 저 자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출 판 사 채륜

정 가 22,000

발 행 일 20130710

상세정보 반양장, 328, 신국판(153mm×225mm)

I S B N 978-89-93799-74-3 93380

 

 


책소개.png

일생의례를 중심으로 한 문화전통의 근대적 변용

 

일생의례로 보는 근대 한국인의 삶은 변화와 왜곡이 가장 극심했던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의 한국인들의 삶을 일생의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많은 혼란과 충돌이 있었던 여러 문화전통의 양상 중에서도 특히 우리 삶과 가장 가깝게 맞닿아 있는 출산의례·관례·혼례·상례·제례를 대상으로, 11명의 저자들이 분야별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함으로써 각각의 일생의례가 근대 시기 한국인들에게 미친 영향을 소상히 알려준다. 이 책은 우리 삶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일생의례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알려주며, 오늘날 우리 문화전통의 정체성과 지향점을 모색하는 데 있어 구체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출판사서평.png

변혁과 격변 그리고 근대화의 시기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근대 한국인의 삶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는 역사적으로 볼 때 우리 민족에게는 격변과 암흑·치욕의 시기였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러한 시기에서 오랜 역사를 거쳐 형성·발전되어 온 우리의 문화전통은 내적 발전의 역량이 억압된 채 점차 일방적 수용 및 왜곡의 양상으로 변용되었다. 그러나 그 가운데에서도 우리의 문화전통을 지키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되었고, 이러한 의도적 노력 여부를 떠나서도 문화의 각 층위와 요소마다 배어 있는 전통적 면모들이 면면히 지속되어 왔다. 일제강점기 때 식민통치 일환으로 일제가 취한 조치들은 우리 문화전통·민속과 관련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1912년 묘지, 화장장, 매장 및 화장취체규칙 공포, 1934년 의례준칙 제정 등은 1895년 단발령과 함께 우리 일생의례의 지속과 변용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의 이 같은 시대상황 속에서 당대인들은 일생의례를 어떻게 인식하고 행하였을까?

개화기 지식인들 중 상당수는 전통적인 일생의례에 대해 비판적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는 그들 중 대부분이 전통적인 일생의례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당시의 분위기나 상황이 전통적인 일생의례를 따를 수밖에 없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일제가 우리나라를 강점하면서부터 친일파나 친일 성향의 지식인들 태반은 일제의 우리 전통의례 말살정책에 동조하는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당시의 우리 민중들 가운데 일부는 일제의 강압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따르거나, 이에 동조하는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의 일생의례는 서구문물의 유입이나 근대화 등으로 인해 변모의 조짐을 드러낸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개화기에는 어느 정도 지속되어 왔으나,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의 강압으로 인해 크게 변용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극심한 혼돈 속에서 우리 삶 그 자체인 일생의례는

어떻게 지속되고 변용되었을까?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는 격변과 굴욕의 시기이면서 근대화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기에 국내외 상황이나 배경, 기독교와 천주교의 포교활동과 서양문물의 유입, 그리고 국내의 주요 사건이나 정책, 당대인들의 인식태도 등은 우리 일생의례의 지속과 변용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었다. 특히 일본의 조선 강점은 일생의례의 변용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문제는 그 변용이 급박하게 변화하는 시대 흐름 속에서 자발적이 아닌 강압적으로 일어났다는 데 있다. 그러나 우리 일생의례는 이 같은 상황 속에서도 나름대로 지속되고 변용되는 과정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

일생의례로 보는 근대 한국인의 삶은 그러한 일생의례의 지속과 변용 과정을 알아보고, 그것이 한국인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핀 책이다. 각 일생의례별로 변모 양상을 정리하자면, 먼저 출산의례는 대체적으로 큰 변모없이 지속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반면 관례는 개화기뿐 아니라 단발령 이후 특히 일제강점기에는 행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행하는 경우 새롭게 변용되거나 또는 혼례의 선행의식으로 약식화되거나 흡수되고 말았다. 혼례와 상례의 경우 개화기에는 크게 변모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이나, 일제강점기의 경우에는 일본의 강압에 의해 변용될 수밖에 없었다. 제례는 개화기 때는 그렇게 큰 변모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나며, 일제강점기의 경우 변용은 있었지만 혼례나 상례보다는 변용이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여러 큰 변화 속에서도 지금까지 우리 고유의 전통이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은 그 혼란의 상황에서도 우리 나름대로 문화전통을 개선하고 유지하려는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 한국 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 양상을 다각도로 조명하는 연구가 계속하여 이어지길 바라며, 그러한 결과물들이 관련 학문분야에 구체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지은이.png

송재용 단국대학교 교수

서종원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

김주희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구영본 성신여자대학교 강사

신미경 성신여자대학교 강사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최석영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장

이영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

최인학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염원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

김시덕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전시운영과장

 


차례.png

발간사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일생의례의 지속과 변용

송재용_단국대학교 교수

 

근대적 사고를 통해 본 일생의례의 변화 양상 고찰

-특히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서종원_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

 

1930~1940년대 출산 풍속에 대한 사례 연구

김주희_성신여자대학교 교수

구영본·신미경_성신여자대학교 강사

 

출산의례의 변용(變容)과 근대적 변환(變換): 1940~1990

주영하_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한말 일제강점기 국가제례(國家祭禮) 공간의 변화

최석영_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장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혼인유형과 혼례식의 변모양상

이영수_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

 

일제강점기 혼례문화의 지속과 변용

-‘택일·궁합·피로연·신혼여행을 중심으로-

이영수_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

최인학_인하대학교 명예교수

 

전통 상례의 변화를 통해 본 일제의 조선 인식

-일제강점기 신문, 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염원희_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

 

현대 한국 상례문화의 변화

김시덕_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전시운영과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문화체육관광부 강릉의 동족마을_강릉문화원 연구총서 1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2270

< 201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도서분류 역사, 문화 / 민속학 / 지방, 향토 총 서 명 강릉문화원 연구총서 1 도 서 명 강릉의 동족마을 기 획 강릉문화원 출 판 사 채륜 정 가 50,000원 발 행 일 2013년 08월 30일 상세정보 반양장, 636쪽, 크라운판 ...

문화체육관광부 나의 아래층 사람_아흔아홉 편 시 묶음 잇기 03 file

  • anonymous
  • 2016-02-16
  • 조회 수 389

<2016년 세종도서 문학나눔 선정도서> 도서분류 문학 / 한국문학/ 한국현대시 시리즈명 아흔아홉 편 시 묶음 잇기 03 도 서 명 나의 아래층 사람 지 은 이 강은미 출 판 사 채륜 정 가 9,900원 발 행 일 2016년 1월 30일 상세정보 반양장, 171쪽, 변형신국판(...

문화체육관광부 변방의 사운드 file

  • anonymous
  • 2019-01-02
  • 조회 수 45

<2018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도서분류 음악/ 대중음악/ 동양음악사 총 서 명 동아시아연구소 학술총서 도 서 명 변방의 사운드 부 제 명 모더니티와 아시안 팝의 전개 1960~2000 지 은 이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신현준·이기웅 편 출 판...

문화체육관광부 세계의 바다와 해양생물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2208

< 2009년 우수학술도서선정 > 도서명 세계의 바다와 해양생물 저자 김기태 분야:교양과학, 테마가 있는 여행에세이 발행일:2008년 6월 30일 463면, 크라운변형판(165mm×215mm) 반양장 ISBN:978-89-960140-2-7 값 18,000원 해양생물학자 김기태의 바다연구와 ...

문화체육관광부 안중근과 동양평화론 -안중근의거 100주년기념 연구논문집 4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2808

< 2011년 우수학술도서선정 > 도서명 안중근과 동양평화론 -안중근의거 100주년기념 연구논문집 4 엮은이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편 (노명환 / 서 용 / 현광호 / 이규태 / 김형목 / 최봉룡 / 김종걸 / 조홍식 / 최태욱 / 문우식 / 손 열 / 김용희 / 정현기 / ...

문화체육관광부 용인학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1588

< 2010년 우수학술도서선정 > 도서명: 용인학 -용인, 용인사람들 지은이: 홍순석 분 야:민속학 발행일:2010년 02월 27일 ISBN 978-89-93799-14-9 93380 신국판(152mm×223mm), 반양장, 309면, 16,000원 ‘용인’을 알려주는 ‘용인’의 모든 것 세계적인 도시를 지...

문화체육관광부 일생의례로 보는 근대 한국인의 삶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1644

< 201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 도서분류 민속학 / 근대문화 도 서 명 일생의례로 보는 근대 한국인의 삶 편 저 자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출 판 사 채륜 정 가 22,000원 발 행 일 2013년 07월 10일 상세정보 반양장, 328쪽, 신국판(153mm×225mm) I...

문화체육관광부 전통예술의 미래 file

  • anonymous
  • 2014-07-22
  • 조회 수 1123

< 2011년 우수학술도서선정 > 도서명 전통예술의 미래 지은이 이동연 분 야 전통예술/국악 발행일 2010년 8월 30일 ISBN 978-89-93799-21-7 93670 신국판(152mm×223mm), 반양장, 341면, 18,800원 전통예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새로운 이론, 새로운 분석...

&CHROMELESS WINDOWS LAUNCH